함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권상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권상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927년 아들 진용(瑨容)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의 서문이, 권말에 송준필(宋浚弼)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7수, 서(書) 19편, 권2는 잡저 6편, 기(記) 2편, 발(跋) 1편, 상량문 2편, 자사(字辭)·혼계(婚啓) 각 1편, 애사(哀辭) 2편, 제문 4편, 비갈(碑碣) 3편, 유사 1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강호의 한정과 인생의 수양을 읊은 것이 많은데, 「도진노중작(桃津路中作)」은 인생살이를 길가는 것에 비유하여 언제나 대도를 가듯, 인생을 살아 미혹이나 후회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읊은 것이다.

서(書) 중 「여척암김장서(與拓庵金丈書)」는 대가 앞에 나아가 배우지 못함과 어진 벗들과 학문을 논할 기회가 없음을 한탄한 것이고, 이 밖의 글들도 대체로 시사(時事)나 인생문제, 학술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다.

잡저 중 「서실우경(書室寓警)」은 심지를 굳건히 한 다음에야 비로소 올바른 배움의 길이 열린다는 학문의 자세를 논술한 것이다. 「노양생론(魯兩生論)」은 예악(禮樂)을 알지 못하고는 치란(治亂)에 대하여 말할 수 없음을 주장한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