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기화 ()

목차
관련 정보
해동기화
해동기화
구비문학
문헌
고려에서 조선조까지 역대 인물의 일화를 여러 문헌에서 모아 수록한 야담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에서 조선조까지 역대 인물의 일화를 여러 문헌에서 모아 수록한 야담집.
내용

1책. 필사본. 고려에서 조선조까지의 역대 인물에 관한 일화를 여러 문헌에서 뽑아 수록하였다.

발췌한 문헌은 이수광(李晬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 박동량(朴東亮)의 『기재잡설(企齋雜說)』, 이덕형(李德泂)의 『죽창한화(竹窓閑話)』, 찬자 미상의 『파한신화(破閑新話)』, 조신(曺伸)의 『소문쇄록(謏聞瑣錄)』,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 임방(任埅)의 『수촌만록(水村漫錄)』,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 김시양(金時讓)의 『부계기문(涪溪記聞)』, 허균(許筠)의 『파인식소록(巴人識小錄)』,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 이제신(李濟臣)의 『후청쇄록(鯸鯖瑣錄)』, 찬자 미상의 『국창배어(菊窓俳語)』, 서거정의 『태평한화(太平閑話)』, 이육(李陸)의 『청파극담(靑坡劇談)』, 임경(任璟)의 『현호쇄담(玄湖瑣談)』, 정재륜(鄭載崙)의 『한거만록(閑居漫錄)』, 김득신(金得臣)의 『종남총지(終南叢志)』, 유성룡(柳成龍)의 『서애잡록(西崖雜錄)』, 찬자 미상의 『비장잡기(裨將雜記)』, 김정국(金正國)의 『사재척언(思齋摭言)』, 차천로(車天輅)의 『오산설림(五山說林)』, 정재륜의 『공사문견록(公私聞見錄)[東平聞見錄]』,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 이제현(李奎報)의 『백운소설(白雲小說)』, 이정형(李廷馨)의 『동각잡기(東閣雜記)』, 찬자 미상의 『남계집(南溪集)』, 이이명(李頤命)의 『소재집(疎齋集)』, 김시양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 이처사(李處士 : 李墍)의 『송와잡기(松窩雜記)』 등이지만, 원전명의 오기가 꽤 눈에 띄며, 출전이 누락되어 있는 경우도 매우 많다.

『기문총화(記聞叢話)』와 내용이 거의 합치되는 점으로 미루어 양본은 이본으로 간주하여도 좋을 듯하다. 서울대학교, 국립중앙도서관 및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헌설화전집(韓國文獻說話全集)』5(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편, 태학사, 1981)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