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송기식의 아우 송연식(宋淵植)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신언직(申彦稷)의 서문, 권말에 박창로(朴昶魯)와 송연식(宋淵植)의 발문이 있다.
9권 5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만사 295수, 권3·4에 서(書) 127편, 권5에 서(序) 12편, 기(記) 7편, 전(傳) 1편, 발(跋) 6편, 논(論) 5편, 설(說) 17편, 잠(箴) 5편, 찬(贊) 1편, 애사 1편, 추도문 2편, 권6에 상량문 6편, 고유문 3편, 제문 39편, 권7·8에 묘지명·광지(壙誌)·묘갈명 35편, 행장 13편, 유사 3편, 가장 4편, 권9에 부록으로 만사·제문·묘지명·묘갈명·행장후서·유사·발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자연의 수려한 경치를 읊거나 친구와 화답한 것이 대부분이다. 「체수안동옥중시동지(逮囚安東獄中示同志)」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다가 불행히 일본 경찰에 잡힌 몸이 되었으나 생각은 오직 독립에 있을 뿐임을 밝힌 것이다. 「회소곡(會蘇曲)」은 신라 유리왕 때부터 곡명만 전해 오던 곡에 가사를 붙여 당시를 회고하는 뜻을 담은 것이다.
서(書) 가운데 「상오산김장(上吾山金丈)」은 『대학』의 격물(格物)·치지(致知) 등 8조목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개진한 것이다. 또, 지어지선(至於至善)의 근본 목적이 백성을 정신적인 면과 물질적인 면에서 동시에 충족시켜 주는데 있다고 주장한 내용을 담고 있다. 「답석주이장(答石洲李丈)」은 이상룡(李相龍)에게 답한 글로, 천주학은 유학과 부합될 수 없으며 배척해야 할 사교(邪敎)임이 분명하나, 조국의 독립을 위해서는 천주교도들과도 힘을 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밖에 「홍범시의(洪範詩義)」는 『서경』의 홍범구주(洪範九疇)에 대해 시로 해석한 글이며, 「양호연기론(養浩然氣論)」은 『맹자』의 호연지기를 기르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