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당집 ()

행당집
행당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장만걸의 시 · 소 · 서(書)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장만걸의 시 · 소 · 서(書)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장만걸의 후손 장진두(張鎭斗)·장진규(張鎭圭) 등이 편집했으며, 간행 년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5권 2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110여수, 만시(輓詩) 29수, 권3에 소(疏) 2편, 서(書) 27편, 권4에 서(序)·기(記)·설(說) 각 1편, 제문 3편, 유사 1편, 권5에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염락풍아(濂洛風雅)』와 『퇴계집(退溪集)』의 시를 즐겨 차운하고 있는데, 특히 이황(李滉)의 시에 차운한 것은 60여 수에 이른다. 장편 「부운가(浮雲歌)」와 「한거자영(閑居自詠)」에는 시대를 근심하고 세상일을 개탄하는 저자의 심경이 잘 드러나 있다. 시의 흐름이 충담평원(冲澹平遠)하고 수식에 힘쓰지 않았다는 세평을 받은 바 있다.

소는 「오조소(五條疏)」·「육조소(六條疏)」 등 2편이 있는데, 실제 올리지는 않은 글이다. 「오조소」는 1713년(숙종 39)에 지은 것으로, 세자의 사부를 잘 고를 것, 인재의 등용과 폐출을 신중히 하고 당론을 억제할 것, 학교를 일으키고 인재를 양성할 것, 사치를 억제하고 재용을 축적할 것, 군정을 살피고 기계를 정밀히 할 것 등을 건의하고 있다. 「육조소」는 큰 뜻을 세울 것, 성학(聖學)에 힘쓸 것, 간쟁(諫諍)을 받아들일 것, 인재 등용을 공평히 할 것, 인심을 진무할 것 등을 건의하고 있다. 2편 모두 상당히 과격한 논조로 되어 있다.

서(書)는 스승 장신(張璶), 벗 권두인(權斗寅)·김성탁(金聖鐸) 등에게 보낸 것으로, 안부의 말과 예학, 기타 강학(講學)의 논의가 들어 있다. 기의 「정산서원묘우중수기(鼎山書院廟宇重修記)」는 조목(趙穆)을 제향하는 정산서원의 건립과 중수 경위를 기록한 글이다. 「행당기(杏堂記)」는 도학으로 노년을 즐기는 저자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몽배고산이선생설(夢拜孤山李先生說)」은 스승 이유장(李惟樟)이 학문을 다그치는 꿈을 꾸고 나서 학문하는 자세를 돌아본 글이다. 유사는 스승 이동표(李東標)에 대한 기록이다. 부록에는 이만인(李晩寅)의 행장, 증손 장지증(張志曾)의 가장, 이돈우(李敦禹)의 묘갈명, 박주종(朴周鍾)의 묘지명 등이 들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