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향온주는 멥쌀과 찹쌀로 빚는 약주의 일종으로 조선시대 문헌인 ≪고사촬요 攷事撮要≫ · ≪음식디미방≫ 등에 소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누룩은 밀과 녹두를 섞어 만들며, 술밥은 멥쌀과 찹쌀을 10:1의 비율로 섞어 만들고 누룩과 밑술을 넣어 빚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서울특별시의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향온주는 술을 증류하여 소주로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기능보유자는 정해중이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