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7년 현손 헌필(憲弼)이 편집, 간행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의 영모각(永慕閣)과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이, 권말에 헌필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와 만사 52수, 권2에 상량문 1편, 발(跋) 1편, 제문 3편, 권3에 책(策) 6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지명·애사·뇌문(誄文)·만사·제문 및 증유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임지를 드나들면서 주변 자연경관을 읊거나 함께 한 이들과 주고받은 것들이 많다. 「과선운산부선운산곡(過禪雲山賦禪雲山曲)」은 백제 가요로 전하는 「선운산」에 가탄하여 지은 것이다.남편이 수자리 나가서 전쟁이 끝나도 돌아오지 않으매, 이를 기다리는 아낙네가 남편을 그리는 마음을 잘 묘사하였다.

책문은 치심(治心)과 심통(心統)의 관계나 권도(權道)와 시중(時中)의 관계 등의 내용을 논하였다.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