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집 ()

목차
관련 정보
호주집
호주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채유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채유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판본. 종손 명윤(明胤)과 팽윤(彭胤)이 편집하고, 1705년(숙종 31) 팽윤이 홍만조(洪萬朝)의 협조를 얻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지완(尹趾完)의 서문, 권말에 홍만조와 팽윤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4는 시 491수, 권5는 표전(表箋) 7편, 교서 6편, 상량문 3편, 인(引) 1편, 서(序) 5편, 기(記) 1편, 명(銘) 1편, 잡저 2편, 제문 16편, 권6은 묘지 2편, 비명 6편, 묘표 3편, 시장(諡狀) 1편, 장(狀) 1편, 권7은 소차(疏箚) 14편, 계(啓) 3편, 과체표(科體表)·대책(對策)·책문(策文) 각 1편, 시 31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오언·육언·칠언으로 절구·율시·배율 등의 각 체가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준 또한 매우 높아, 당시(唐詩)의 음향과 송시(宋詩)의 전아한 맛을 풍긴다는 평을 듣는다. 문에도 능해, 홍서봉(洪瑞鳳)은 광세절예(曠世絶藝 : 세상에 드문 뛰어난 기예)라는 표현으로 극찬한 바 있다.

시에는 「취제벽상(醉題壁上)」 등 취(醉)자가 든 시제가 월등하게 많아, 시와 술을 매우 좋아한 작자의 문학 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또, 윤지완·이명한(李明漢) 등의 이름이 자주 보이며, 승려의 등장도 매우 잦다.

제문에는 「선정신문순공이황춘천서원사액사제문(先正臣文純公李滉春川書院賜額賜祭文)」을 비롯해 한흥일(韓興一)·김세렴(金世濂)·이경의(李景義)·이수광(李睟光)의 치제문이 있다. 이 밖에 일본의 다이곤겐사당(大權現社堂)과 다이유원(大猷院)에 보내는 제문이 있어 이채롭다.

비명에는 고려 사람 김자수(金自粹)의 묘비명이 있다. 소는 대제학·부제학·대사간 등의 사직을 청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조선 후기의 시문학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