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염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1927년 1월, 최서해(崔曙海)가 『조선문단』에 발표한 단편소설.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27년 1월
작가
최서해(최학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홍염」은 1927년 1월, 최서해(崔曙海)가 『조선문단』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가난과 그로 인한 고통을 형상화한 최서해의 대표작 중 하나로, 간도로 이주한 조선인이 중국인의 농지를 소작하면서 빚어지는 비극적 사건을 작가의 체험에 기초해 그려낸 작품이다. 평등 지향의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프로문학의 형성에 기여했다.

정의
1927년 1월, 최서해(崔曙海)가 『조선문단』에 발표한 단편소설.
작가

최서해신경향파 문학의 출현을 알린 대표적 작가로서 가난과 빈궁의 처참함을 생생하게 그렸다. 그는 일제의 식민지 착취로 인한 조선인의 빈궁과 고통, 국경을 넘나들며 벌어지는 민족과 계급 문제 등 당시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날카롭게 던진 작가이다. 체험에 기초한 최서해의 소설은 서사의 개연성과 사실성이 뛰어나 지식인 중심의 당대 문단에 새로운 충격을 던졌다.

내용

「홍염」은 조선에서 소작을 하던 문 서방이 서간도로 이주해서 중국인의 소작인으로 살아가다가, 비참한 생활 끝에 격렬한 분노와 광기를 표출하는 상황을 그린 작품이다. 문 서방은 빚 때문에 중국인 지주에게 딸을 빼앗긴다. 딸을 빼앗긴 설움으로 병이 난 문 서방의 아내는 딸을 한 번 보는 것이 소원이었으나, 중국인 지주 인가〔殷哥〕는 자신을 찾아오는 문 서방의 청을 매번 거절한다. 문 서방은 인가에게 네 번이나 찾아갔으나 거절 끝에 쫓겨나게 된다. 아내는 원한이 맺힌 채 미쳐서 죽는다. 아내가 죽은 이튿날 밤, 문 서방은 인가와 딸이 사는 마을로 가서 인가의 집에 불을 지른다. 문 서방은 그 불길을 바라보며 마음껏 시원하게 웃어 젖힌다. 그리고 불길 속에 허덕이는 인가와 딸을 보자, 문 서방은 도끼를 들고 달려가 인가를 쳐 죽이고 딸을 품에 안는다. “작다고 믿었던 자기의 힘이 철통같은 성벽을 무너뜨리고, 자기의 요구를 채울 때 사람은 무한한 기쁨과 충동을 받는다.”라고 표현된 마지막 대목은 비참한 생활과 분노, 그리고 광기로 이어지는 처참한 서사가 어디에서 출발한 것인지를 가리키고 있다. 식민지의 조선인들이 겪었던 가난과 빈궁은 이들을 국경 너머로 밀어냈고, 그곳에서 인간 이하의 상황에 맞닥뜨린 사람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참담한 지경에 내몰렸다. 이 작품은 그 지점을 가장 침울하고 격렬하게 그려낸 최서해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의의 및 평가

최서해의 문학에 있어서 폭력은 반항의 변증법이자 굶주린 자의 적의(敵意)에서 발생하는 본능적인 행동이다. 결정적인 순간에 주인공들은 환시 또는 착란 상태를 으레 겪게 되는데, 이러한 환상은 가해 관계(加害關係)에 있다고 믿는 대상과 피해자의 그늘들이기도 하다. 홍염 즉 불은 극한에 내몰린 문 서방이 취할 수 있었던 복수의 수단이면서 그의 환상을 현실화하는 방법이기도 했다. 불을 지르는 행위를 통해 오염과 부정을 모두 태워 정화시키면서 부당한 현실을 소멸시키는 것이 극한 상황에 몰린 문 서방의 마지막 선택이었다. 가혹했던 중국인 인가에게 복수하고 딸을 구해낼 수 있었던 것은 불의 정화로 얻은 미래였던 것이다.

「홍염」은 신경향파 문학을 견인했던 최서해의 대표작 「탈출기(脫出記)」( 『조선문단』, 1925.3), 「기아(飢餓)와 살육(殺戮)」(『조선문단』, 1925.6)과 함께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참담한 현실을 예리하면서도 둔중하게 그려냈다. 박영희김기진 등 카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의 주요 비평가들은 이를 프로문학의 예비적 단계로 평가하고 신경향파로 명명했다. 이 소설은 이후 주1이고 조직적인 프로문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병로, 『한국현대작가의 문제작 평설』(국학자료원, 1996)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홍성사, 1978)
조남현, 『한국현대소설사1—1890-1930—』(문학과지성사, 2012)

논문

김성옥, 「빈궁으로부터의 ‘탈출’을 지향한 글쓰기—최서해 서간체 소설의 문체 분석—」(『한중인문학연구』 26, 한중인문학회, 2009)
김승종, 「최서해 소설의 기호학적 연구—간도 배경 소설들을 중심으로—」(『현대문학의 연구』 36,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오양진, 「나도향의 <물레방아>와 최서해의 <홍염>에 나타난 인간상의 비교」(『현대소설연구』 4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유승환, 「1923년의 최서해」(『한국현대문학연구』 52, 한국현대문학회, 2017)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반교어문연구』 15, 반교어문학회, 2003)
하정일, 「민족과 계급의 변증법—최서해 문학의 탈식민적 성취와 한계—」(『한국근대문학연구』 6(1), 한국근대문학회, 2005)
한수영, 「‘분노’의 공(公)과 사(私)—최서해 소설의 ‘분노’의 기원과 공사(公私)인식을 중심으로—」(『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15)
홍기돈, 「최서해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비평문학』 30, 한국비평문학회, 2008)
주석
주1

자기 행위의 목적에 관한 뚜렷한 자각을 가진.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