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일고 ()

화산일고
화산일고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권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8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권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권주의 현손 권구(權榘)가 1718년(숙종 44)에 편찬했으나, 1798년(정조 22)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두인(權斗寅)의 서문, 권말에 권두경(權斗經)의 발문, 유규(柳0x9958)와 현손 권구의 후지(後識), 후손 권치(權緻)의 소지(小識)가 있다.

서지적 사항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시 8수, 서(序) 1편, 서(書) 2편, 잡저 1편, 유묵·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참친수(因讒親讎)」·「불회완풍(不回頑風)」·「천지불화(天地不和)」·「비명피륙(非命被戮)」 등의 시는 임금의 명으로 지은 것이다. 「동방록서(同房錄序)」는 우정에 대해 논한 것이며, 유묵은 잡저 「시책(諡冊)」의 친필이다.

부록에는 이유장(李惟樟)의 묘갈명, 1497년(연산군 3)과 1503년에 왕이 내린 전교(傳敎), 경상도관찰사였을 때 안동의 사민(士民)이 병풍에 써 바친 「남향자(南鄕子)」, 홍귀달(洪貴達)이 쓴 「송지경출안영남(送支卿出按嶺南)」, 홍언충(洪彦忠)의 만시(輓詩), 이황(李滉)의 「제묘도시(題墓道詩)」·유사, 「갑자화적(甲子禍蹟)」·「동방록(同房錄)」·「향약계첩(鄕約契帖)」·「동사록(東槎錄)」·「연행록(燕行錄)」·「갑자록(甲子錄)」,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 문과방목(文科榜目), 「입사의여유익찬서유세익(立社議與柳翊贊書柳世翊)」·「의청시시사림통문(擬請諡時士林通文)」, 현손 권구의 「입석고사(立石告辭)」·「동사시제공증행첩(東槎時諸公贈行帖)」·「연행시제공증행첩(燕行時諸公贈行帖)」, 이황이 쓴 아들 권질(權礩)의 묘갈명, 아들 권진(權磌)에 대한 「수찬공사적(修撰公事蹟)」 등이 들어 있다.

그 가운데 「갑자화적」은 연산군이 폐비 윤씨(尹氏)의 입묘의론(立廟議論)을 일으킨 뒤 갑자사화가 일어난 과정을 간략히 기술한 것이다. 「동방록」은 성균관에 있을 때 같은 방을 쓴 인물의 명첩이고, 「동사록」은 1493년 경차관(敬差官)으로 대마도(對馬島)에 갈 때 글을 준 인물의 명첩이며, 「연행록」은 1502년 부사로 명나라에 갈 때 시문을 준 인물의 명첩이다. 여기의 명첩은 조선 초기 인물자료로 가치가 있다. 「갑자록」은 갑자사화 때 윤비 폐의에 참여한 죄목으로 극형을 당한 윤필상(尹弼商) 등 12인과 언관(言官)이나 김종직(金宗直) 문하로서 피살된 홍귀달 등 24인에 대한 간략한 기록을 『미수기언(眉叟記言)』에서 옮겨 놓은 것이다.

유사는 신영희(辛永禧)의 『사우언행록(師友言行錄)』, 이황의 『퇴계집(退溪集)』, 홍귀달의 『허백당집(虛白堂集)』 등에서 저자에 대한 기록을 모아 놓은 것이다. 「동사시제공증행첩」에는 홍귀달·김감(金勘)의 서(序), 이자견(李自堅) 외 13인의 시가 실려 있다. 「연행시제공증행첩」에는 성현(成俔)의 서, 박한주(朴漢柱) 외 4인의 시가 실려 있다. 그밖에 이재(李栽)의 「독사재권공일고(讀四宰權公逸稿)」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