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동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동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78년 손자 희태(熙泰)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변시연(邊時淵)의 서문이, 권말에 김선일(金善馹)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78수, 권2는 서(書) 7편, 잡저 4편, 서(序) 5편, 기(記) 1편, 제문 4편, 부록으로 서(書) 1편, 행장, 묘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산중에 기거하면서 주변 경관을 노래한 것이 많고, 벗들과 수작, 차운한 작품도 적지 않다.

「영설(咏雪)」과 「영죽(咏竹)」 같은 작품에서는 눈과 대나무를 통하여 자신의 고결한 이상과 확고한 지조를 나타내보이기도 하였다. 서(書)는 주로 안부를 묻거나 학술적인 문제로 강론한 내용이나, 특별한 것은 없다.

「화석당기(花石堂記)」에서는 자신의 거처인 화석당의 주변을 적고, 꽃과 돌을 사랑하여 그 가운데 집 짓고 사는 자신의 삶이 결코 삼공(三公)의 벼슬이나 삼군(三軍)의 위세보다 못하지 않음을 자부하여, 명리에의 욕심을 버리고 자연에 묻혀 지내는 선비의 고결한 자세를 그리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