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음계몽언해 ()

목차
관련 정보
화음계몽언해
화음계몽언해
언어·문자
문헌
조선후기 역관 이응헌의 『화음계몽』을 언해하여 1883년에 간행한 교재. 중국어회화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역관 이응헌의 『화음계몽』을 언해하여 1883년에 간행한 교재. 중국어회화서.
내용

2권 1책. 전사자(全史字)의 고활자본. 언해자는 알 수 없으나 같은 해에 이응헌이 언해한 것으로 보인다.

‘광서구년계미인출(光緖九年癸未印出)’이라는 간기가 적혀 있는 책이 장서각 도서에 있다. 『화음계몽』에 들어 있는 서(序)와 부록(附錄) 부분을 제외하고 본문만 언해하였다. 한문 원문은 회화체로 되어 있는데, 한자의 아래에 백화문(白話文)의 한자음을 한글로 써놓았다.

원문의 뒤에 한자와 한글을 혼용한 언해문이 이어지는데, 언해문의 한자에는 한자음을 달지 않았다. 이 책의 내용 일부가 『화어유초(華語類抄)』에 ‘화음계몽언해 상(華音啓蒙諺解 上)’이라 하여 동일한 형식으로 실려 있다.

언해문에는 ㅅ계 합용병서로 된소리를 표기하였으며(○히, ᄲᅡᆯ리), 어말자음의 / t /는 ‘ㅅ’으로 표기하였다 (뭇ᄂᆞ니). t 구개음화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며(엇지), 주격조사 ‘―가’와 존칭의 주격조사 ‘―계오셔’ 등이 쓰이고 있다(너의가, 우리가, 王世子계오셔). 19세기말의 중국 한자음과 국어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윤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