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철화 양류문 통형 병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병.
이칭
이칭
철화청자 양류문 통형 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병.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1.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 시대 철화청자는 고려자기의 주류인 순청자나 상감청자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 철화청자의 유약은 대체로 산화번조로 갈색을 띠고 문양은 소박하고 대담한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고려 철화청자 중에는 긴 원통형의 몸체를 지닌 특이한 형태의 병들이 몇 점 남아 있는데,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은 그 중의 한 예로 1931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일본인 수집가로부터 사들인 것이다. 전체적으로 선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직선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어깨 부분은 적당히 깎아내어 비스듬한 면을 이룸으로써 형태상의 단조로움을 덜어냈다.

이러한 통형 병의 예는 중국의 경우 요주요(耀州窯) 청자 중에 일부 나타나며, 고려에서는 대체로 12세기 이후의 자기에 이러한 형태가 등장하며 중국과 달리 구연부가 반구형(盤口形)인 것이 특징이다.

대체로 문양을 기면 가득히 시문하는 경향을 띤 일반적인 철화청자와는 달리,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은 몸체 양면에 한 그루씩의 버드나무를 그렸을 뿐, 일체의 장식의장이 생략되어 있다. 대담하게 단순화된 버드나무의 간결한 표현에서 운치 있고 세련된 감각이 엿보인다.

유약은 산화번조되어 갈색을 띠고 있으나, 한쪽 면의 버드나무 아랫부분과 다른 면의 버드나무 배경부분은 환원(還元)되어 담담한 푸른색을 나타낸다. 이는 환원과 산화가 완전하지 않았던 가마 안의 번조과정에서 우연히 일어난 결과이지만 회화적인 효과를 더해준다.

형태상의 적정한 비례와 어깨의 모죽임, 몸체의 자연스러운 선의 흐름, 버드나무의 독창적인 표현 등이 매우 돋보이는 작례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한국의 미』4 청자(최순우 감수, 중앙일보사, 1981)
『世界陶磁全集』13 高麗篇(東京: 河出書房, 1955)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