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유법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사물의 속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른 낱말을 빌려와 비유하는 수사법. 비유법.
목차
정의
사물의 속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른 낱말을 빌려와 비유하는 수사법. 비유법.
내용

대유법을 곧 환유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提喩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관념을 연상시키는 그 무엇이 그 관념의 표시를 위해서 사용된다. 기호(記號)가 지시(指示)하는 사물을, 용기(容器)가 담기는 사물을 암시하는 경우이다.

의복으로써 그 옷을 입은 사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호사를 뜻하는 ‘백의의 천사’라든가, 용기로써 그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잔 마셨다’에서 ‘잔’이 그 용기의 내용물인 ‘음료수’나 ‘술’을 대신하며 또한 그 용기에 담긴 내용물인 ‘술’을 의미하는 ‘대포’가 그 예이다.

도구나 장구(裝具)로써 그것을 사용하는 인물을 대신 나타내는 표현으로 ‘삽’과 ‘왕관’이 각기 ‘평민’과 ‘왕’을 대신하게 하며, 건물로써 그 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인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청와대에서 중대 정책을 고려중이다.’라는 언어표현에서 ‘청와대’가 ‘우리나라 대통령’을 대신 나타내는 것 등으로 이러한 표현이 모두 공간적 인접성에 바탕을 둔 환유법들이다.

또한. 논리적 인접성에 근거한 환유법은 원인으로써 결과, 또는 결과로써 원인을 대신 나타내는 것인데 ‘독약을 마시면 죽는다.’라는 인과관계에 근거하여 ‘독약을 마셨다.’ 대신에 ‘죽음을 마셨다.’는 표현 등이 그 예이다.

참고문헌

『문학개론(文學槪論)』(박철희, 형설출판사, 1975)
집필자
한동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