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천집설(民天集說)』·『양주방』·『음식방문』·『시의전서(是議全書)』 등에 기록되어 있다. 『시의전서』에는 황감주(黃柑酒)라고 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양주방』에서는 “희게 찧은 멥쌀 두되를 깨끗하게 씻어 가루로 만들어 물 한말로 죽을 쑤어 식힌 뒤, 여기에 누룩가루 한되를 넣어 괴거든 다시 멥쌀 한말을 깨끗이 씻어 지에밥을 푹 익게 쪄서 쪄낸 물 한되를 뿌려 술밑과 섞어 넣는다. 7일 만에 쓰면 맛이 좋다.”라고 하였다.
『시의전서』에서는 “찹쌀 한말을 깨끗이 씻어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 경단을 빚어 익게 삶은 다음, 좋은 누룩 한되를 섞어 넣었다가, 이튿날 물을 뿌리지 말고 쪄서 술밑을 냉수 한 사발에 걸러 고운 수건에 밭쳐 그 밥을 그릇에 떠놓아 가면서 고루 무쳐 식힌 뒤 항아리에 넣어두었다가 이칠일이나 삼칠일이 지난 뒤에 먹는다.”라고 하였다.
맛이 달고 매운 술로서 청주로도 먹고 탁주로도 먹는다. 『양주방』에서는 콕 쏘고 맵게 하려면 밥을 찐 물을 두되쯤 뿌려 빚으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