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문집 ()

회당문집
회당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신원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신원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신원록의 6대손 신정모(申正模)가 1740년(영조 16)에 편집했으나 인간(印刊)은 1769년경에 이루어진 듯하다.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이 1739년에 쓴 서문이 있고, 신정모가 편찬한 연보가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부(賦) 4편, 시 45수, 권2에 서(書) 2편, 잡저 6편, 제문 3편, 권3·4에 부록으로 효우록(孝友錄)·행장·습유·묘지·묘표·속삼강행실·문소지(聞韶識)·제묘문·장대서원봉안문(藏待書院奉安文)·상향축문·풍영루상량문(風詠樓上樑文)·이산구원묘우상량문(尼山舊院廟宇上樑文)·사우록(師友錄)·사우록발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 가운데 「삼근부(三近賦)」는 지(知)·인(仁)·용(勇)의 3덕목을 노래한 것이고, 나머지 3수도 철리(哲理)를 읊고 있다. 시는 동지들과 화답한 것이 대부분이고, 평담한 풍격을 지니고 있다. 서(書)는 주세붕(周世鵬)과 서원 학생에게 보낸 것으로, 장천서원(長川書院)의 운영에 대한 내용이다.

잡저에는 「유붕자원방래불역낙호론(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論)」·「업유재완의(業儒齋完議)」·「진제장지(賑濟場志)」·「서향약후(書鄕約後)」·「자모영정지(慈母影幀識)」·「장천서원영건전말(長川書院營建顚末)」 등이 있다. 「업유재완의」는 향교의 학자금에 대한 규정이고, 「진제장지」는 1553년(명종 8)과 1554년의 기근 구휼에 대한 것이다. 「장천서원영건전말」에는 김안국(金安國)을 제향한 장천서원 건립의 전말이 실려 있다. 잡저에 있는 서원에 대한 기록은 초기 서원의 운영과 재정 연구의 자료가 된다.

제문은 김사걸(金士傑)·조종돈(趙宗敦) 등에 대한 것이다. 「효우록」은 저자가 아버지 신수(申壽)를 간병하고, 모친상을 당했을 때 행한 효행으로 효자문이 세워진 경과를 적은 것으로, 형 신원복(申元福)이 기록하였다. 「속삼강행실」과 「문소지」도 효행에 대한 것으로, 「연친곡(宴親曲)」 8규(閨)를 지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손자 신열도(申悅道)가 편찬한 「사우록」에는 저자의 사우 74인의 행적과 그들이 저자에게 준 시문이 들어 있다. 이황(李滉)·조식(曺植)·박운(朴雲)·주세붕·김인후(金麟厚)·황준량(黃俊良) 등 당대 거유의 이름이 보인다. 권말에 「회당선생분산도(悔堂先生墳山圖)」·「신재주선생유묵(愼齋周先生遺墨)」 및 이상정(李象靖)의 「유묵발」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