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희강왕릉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신라 희강왕릉 정측면
경주 신라 희강왕릉 정측면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43대 희강왕의 능. 왕릉.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43대 희강왕의 능. 왕릉.
내용

1971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면적 9,488㎡. 무덤지름 14m, 높이 3.4m. 희강왕은 836년에 왕이 되어 2년간 재위하였으며, 죽은 뒤 소산(蘇山)에 장사하였다는 기록에 따라 이곳으로 비정하고 있다. 무덤은 낮은 구릉의 중복에 있으며, 외부 모습은 높이에 비하여 밑면이 넓은 둥근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 일반적인 민묘와 동일하며 아무런 특징도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능을 왕릉으로 보지 않고 능지탑지의 석물을 희강왕과 관련된 것으로 보는 연구자도 있다.

참고문헌

『신라왕릉연구』(이근직, 학연문화사, 2012)
『문화재대관』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유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