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를 부르는 행위 자체가 놀이라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창을 목적으로 하는 유희요를 가창유희요라 한다.
가창유희요는 비기능창곡요와 비기능사설요로 나누는데, 음악적 특성으로 정체성이 결정되는 노래는 비기능창곡요라 하고, 사설의 내용에 따라 정체성이 결정되는 노래는 비기능사설요라 한다.
비기능창곡요에는 〈육자백이〉, 〈경복궁타령〉, 〈창부타령〉, 〈노랫가락〉 등과 같이 통속민요나 잡가 계통의 악곡들이 많다. 향토민요로서 비기능창곡요는 많지 않으며 〈아라리〉나 〈둥당애타령〉과 같이 여러 가지 기능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비기능창곡요는 음악적 형식이 고정되어 있어 사설이 바뀌거나 사설 없이 노래해도 악곡의 정체성이 드러난다.
비기능사설요는 〈진주낭군〉, 〈담바구타령〉 등과 같이 음악적 구조와 상관없이 사설의 내용이 악곡의 정체성을 결정짓는다. 비기능창곡요와 달리 향토민요가 대부분이다. 비기능사설요는 전승 지역의 음악 문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타지역이나 타장르의 음악 문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동일한 악곡이라도 음악적 구조와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비기능사설요는 여자들이 밭매기나 길쌈, 제분과 같은 일을 할 때 노동요로 활용하기도 한다. 여자들의 노동에는 정해진 민요를 부르는 경우가 많지 않다. 대신 노래가 필요할 때 여러 가지 비기능사설요를 가져다 부른다. 〈밭매는소리〉, 〈방아소리〉, 〈맷돌소리〉, 〈물레소리〉, 〈베틀소리〉 등은 대부분 비기능사설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