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무악장단 가운데 무가의 반주에 사용되는 장단은 청보(남대청보, 달어청보, 엇청보), 제마수, 부정, 수부, 고삼, 자삼, 쪼시개, 도장, 삼공잽이, 재배, 동살풀이 등이며, 춤반주에 사용되는 장단은 푸너리, 조너리, 대너리, 거무, 모름채, 삼오동, 배기장, 거령산, 무정작궁, 드렁갱이, 두나백이 등이다.
동해안 무악장단은 서사무가를 길게 구연할 때에는 장구만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장구, 징, 꽹과리를 함께 사용한다. 타악기만 연주하기 때문에 리듬의 분화가 화려한데, 특히 혼소박의 사용이 많고 점차 빨라지는 속도에 의해 박자구조가 변화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동해안 무악장단은 음악적 구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첫 번째 유형은 하나의 장단이 박자가 다른 여러 장이 조합된 모듬장단 형태의 분장형 장단이고, 두 번째는 하나의 박자로만 유지되는 단장형 장단이다. 이중 동해안 무악에서보편적인 유형은 분장형이며, 청보, 제마수, 부정, 푸너리, 거무, 두나백이, 드렁갱이, 삼오동, 거령산, 삼공잽이, 육자, 모름채, 배기장, 쪼시개, 도장 등이 여기에 속한다. 청보와 드렁갱이, 도장은 5장구성이며, 삼오동은 4장, 제마수, 부정, 거무, 거령산, 삼공잽이, 육자, 쪼시개 등은 3장 구성이며, 푸너리, 두나백이, 모름채는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분장형장단은 1시간 이상 길게 무가를 구연하거나 무무를 반주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청보, 제마수, 도창, 쪼시개, 육자는 모두 장시간에 걸쳐 부르는 무가이며, 삼공잽이로 반주하는 노래들도 비교적 시간을 많이 소요한다. 춤 반주 장단인 경우에도 사정은 같은데, 삼오동, 거령산, 배기장, 푸너리, 거무, 모름채 등도 상대적으로 연주시간이 짧지 않다. 이와 같이 분장형장단이 연주 길이가 긴 곳에 사용되는 것은 똑같은 박자로 장시간을 연주하면 자칫 지루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박자가 다른 여러 장으로 분장하여 음악적 변화를 주기 위한 것이다.
동해안 무악장단의 분장형은 대부분 속도의 변화, 주로 빨라짐에 의해 박자구조가 변하고, 이를 토대로 분장을 한다. 장단의 속도가 빨라지만 하나의 박으로 세었던 단위가 박보다 더 작은 단위가 되고, 한 장단이 하나의 박으로 바뀐다. 분장의 구조에 따라 청보형, 제마수형, 부정형, 푸너리형, 거무형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단장형 장단에는 조너리, 대너리, 고삼, 자삼, 동살풀이, 무정작궁, 부정, 재배 등이 있다. 이들은 연주 시간이 20분 내외에 불과하다. 단장형 장단은 분장형 장단에 비해 연주시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장을 여러 개로 구분하여 음악적 변화를 줄 필요가 없다.
동해안 무악장단은 지리적 · 장르적 접변을 통해 새로운 장단을 수용하기도 한다. 동해안 무악장단 가운데 고삼장단은 경기남부와 충청도에서 사용되던 푸살장단이 수용된 것이며, 자삼장단은 전북특별자치도 무악의 신임장단이 수용된 것이다.
경남과 경북 동해안의 무악장단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장단은 쪼시개, 삼공잽이, 삼오동, 수부채, 고삼, 자삼, 드렁갱이, 두나백이, 거무, 푸너리 등이다. 반면 차이를 보이는 장단으로는 청보가 대표적이다. 경남에서는 별신굿에 남대청보, 오구굿에 엇청보를 사용한다. 경북은 별신과 오구굿의 청보를 구별하지 않고 달어청보 한 가지를 사용한다. 부정의 경우에도 경남의 부정은 별신굿과 오구굿의 장단이 구별되지만 굿거리가 독립되어 있지 않아서 음악적으로는 간단하다. 반면 경북은 굿거리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음악적으로 앉은 부정과 선부정을 구별하고 여러 장으로 분장되는 등 복잡한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조너리, 대너리, 육자, 거령산 등은 경남에서만 사용되며, 도장, 모름채, 배기장, 재배 등은 경북에서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