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풍물굿은 한강을 기점으로 크게 두 가지 계통으로 나눈다. 한강 이북의 경기북부에는 두레풍물굿 형태가 전승되고 있으며, 한강 이남의 경기남부에는 남사당패의 영향을 받은 풍물굿이 전승되고 있으며 그 영향이 충청도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와 충청도를 묶어 웃다리풍물이라고 부른다.
웃다리풍물굿의 가장 대표적인 장단은 길군악 칠채이다. 길군악은 지역마다 다른 장단을 연주하기 때문에 지역성을 살펴보기에 가장 적절한 장단이다. 길군악 칠채는 길을 행진할 때 연주되며, 판굿에서는 오방진에 쓰인다. 길군악 칠채는 3·2, 3·2, 3·3, 3·2, 3·2, 2·3, 3·2로 구성된 혼소박 장단이다. 여기에 징을 7회 치게 되므로 이를 칠채라 부른다. 길군악 칠채는 빠르기에 따라 긴 길군악 칠채와 잦은 길군악 칠채로 나누며, 가락의 세분된 모양에 따라 암수장단을 구별하기도 한다.
경기북부의 풍물굿은 두레농악이라 부르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농신이나 마을신을 위한 연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풍물굿에서는 판굿과 같은 연예농악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농악장단 역시 단순 소박한 형태가 많다. 경기북부에 속하는 김포의 두레풍물굿에는 일채, 삼채, 사채, 삼동지, 느린삼동지, 오채, 육채, 칠채 등의 장단이 연주되고 있다.
경기남부의 풍물굿은 남사당패라는 전문연희집단의 영향으로 판굿이 활성화되어 있고, 무동타기나 상모놀이와 같은 전문적인 기예가 발달되어 있다. 경기남부 풍물굿 가운데 평택농악에는 마당일채, 쩍쩍이 자진가락, 다드래기, 삼채, 좌우치기, 양산 더드래기, 연풍대, 인사굿 등이 사용되고 있다.
경기도 풍물굿 가운데 남사당패의 영향을 받은 판굿 계통의 풍물굿은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전승에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두레풍물굿의 경우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품하거나 시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몇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 전승이 빠르게 단절되어가고 있다. 특히 경기남부 지역의 두레풍물굿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