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신조 ()

고가신조
고가신조
고전시가
문헌
1967년 국악인 김기수가 77수의 고시조에 새 가락을 붙여 편찬한 악서. 창작국악가곡집 · [詞曲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67년 국악인 김기수가 77수의 고시조에 새 가락을 붙여 편찬한 악서. 창작국악가곡집 · [詞曲類].
편찬/발간 경위

일제강점기에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아악부원양성소에서 국악을 공부한 편자가 해방 후 국립국악원 악사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옛 노래(시조)가운데 ‘비교적 건실한 노랫말을 골라 노래 뜻에 걸맞도록 새 가락을 붙여’ 펴낸 것이다.

서지적 사항

168면 84장, 철필인쇄본(鐵筆印刷本).

내용

목차 뒤에 『고금가곡』, 『해동가요』 등 10여종 고가집(古歌集)의 ‘서명약기표(書名略記表)’가 기록되어 있으나, 이들 원전가집은 모두는 통감부 통역관을 지낸 전간공작(前間恭作)의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의 바탕이 된 자료들로, 『고가신조』에 수록된 77수 고시조 사설은 『교주가곡집』을 참조한 것이다. 곡(曲)은 한 노래에 대하여 정간보(井間譜)에 율자(律字)를 기보(記譜)하는 율자보(律字譜), 양악(洋樂)의 오선보(五線譜)로 악보를 기록하였으며, 이어 원전인 고가집(古歌集)의 악곡명과 노랫말을 다시 기록하였다. 부록으로 가사(歌詞) 〈관등가(觀燈歌)〉를 율자보(律字譜)와 오선보(五線譜)로 수록했다. 『고가신조』 이후 죽헌은 『속고가신조』(1976)에 78곡을 더 채보했다.

의의와 평가

‘고가신조’란 말 그대로 옛 노래에 새로운 가락을 얹어 부르는 것으로, 『고가신조』는 창작국악의 길을 모색한 죽헌의 노작(勞作)임에 틀림없으나, 이 신조(新調)가 전통 5음계 조(調)가 아닌 8음계 조(調)여서 실제로 연주하고 부르기가 쉽지 않아, 그동안 세인의 관심을 크게 끌지는 못했다 하며, 2006년 이후 월하문화재단에서 이를 재현해나가고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월하문화재단(http://cafe.daum.net/kimwolha)
관련 미디어 (6)
집필자
성무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