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자 및 편찬연대 미상이나, 『가사유취(歌詞類聚)』가 그 합본(合本)인 『청구영언(靑邱永言)』과 동시기에 필사된 것으로 보면, 『청구영언』의 악곡 표기 가운데 ‘중화엽(中化葉)’이란 악곡명으로 보아, 19세기 초반에 편집된 가사집(歌詞集)이거나, 그것의 후사본(後寫本)으로 추정된다.
세로 24㎝×가로 15.5㎝, 총 28장(張)의 『고가사집(古歌詞集)』이란 제목의 필사본 내에 가곡가집 『청구영언(靑邱永言)』(시조 161수 수록, 13장 전면(前面))과 16장 이후 11장에 걸쳐 「낙빈가(樂貧歌)」 이하 11편의 국한문체 가사를 수록한 『가사유취(歌詞類聚)』가 합책(合冊)되어 있다. 『가사유취』는 이 책의 후반부 가사집만을 가리킨다.
『가사유취』에 수록된 가사(歌詞) 11편은 (1) 「낙빈가(樂貧歌)」(栗谷), (2) 「어부사(漁父詞)」(9章)(聾巖), (3)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曺南溟), (4) 「목동가(牧童歌)」(任休窩), (5) 「용저가(舂杵歌)」(退溪), (6) 「처사가(處士歌)」, (7) 「강촌가(江村歌)」, (8) 「귀전가(歸田歌)」(退溪, 「환산별곡」의 異本), (9) 「부농가(富農歌)」(怍菴先生), (10) 「성동별곡(城東別曲)」(「사미인곡」의 異本), (落張), (11) 「관서별곡(關西別曲)」(岐峰) 등이다. 이어 ‘退溪曰’이라 하여 퇴계의 「농암어부사발문(聾巖漁父詞跋文)」이 수록되고, 맨 마지막 장에 「생황보(笙簧譜)」라 하여 생황 타는 법과 「中兒葉」·「時調」·「勸酒歌」에 대한 생황의 구음(口音) 육보(肉譜)가 채보(採譜)되어 있다.
『가사유취』에 수록된 가사 11편은 신출(新出) 작품이 없고, 작가고증을 별도로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유일본(唯一本)으로 알려진 작품을 교감(校勘)할 수 있는 이본(異本)이 수록되었고, 『해동유요』처럼 홍만종(洪萬宗)의 장가평어(長歌評語)가 기록된 작품도 있어, 조선후기에 편찬된 여러 가사집(歌詞集)에 수록된 가사들의 이본현황을 파악하거나, 그것을 교감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 말미에 첨기(添記)된 「생황보」를 통해 조선후기 풍류방(風流房)에서 향유되던 가곡(歌曲)·시조(時調)·가사(歌詞)에 생황이 반주악기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