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언 ()

고전시가
문헌
19세기 초 · 중반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곡 516수가 수록된 가집.
정의
19세기 초 · 중반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곡 516수가 수록된 가집.
개설

초중화엽(初中和葉)이라는 악곡의 이름을 시작으로 가곡 516수를 수록하고 있으며, 국한문을 혼용하여 정연하게 필사한 가곡집이다.

편찬/발간 경위

서문이나 발문이 붙어 있지 않고 편찬자나 필사자도 표기되어 있지 않아편찬이나 발간 경위를 알 수 없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1책(총 69장). 책 크기는 세로 35㎝, 가로 23㎝이고,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1인이 정연하게 필사하였으며, 악곡별로 작품들을 수록했을 뿐 작자명은 표기되어 있지 않다.

다른 가집들에 실린 작품을 대조하여 밝혀진 작자가 100여 명이나, 대부분 1~2수가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가장 후대의 작가로 김영(金煐, 1783~1830)을 꼽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편찬 시기는 적어도 19세기 초·중반으로 추정된다.

내용

노래는 총 516수이며, 초중화엽으로부터 시작하는 악곡별 수록체계를 보여주는 가집이다. 악곡은 초중화엽, 진화엽(晋和葉) 대초중화(代初中和), 이중화엽(二中和葉) 계면조역가(界面調亦歌), 삼중대엽(三中大葉), 초삭대엽(初數大葉), 이삭대엽(二數大葉), 삼삭대엽(三數大葉), 소용이(騷聳耳), 반엽삭엽(半葉數葉) 사장반계면(四章反界面), 계면초삭대엽(界面初數大葉), 계면이삭대엽(界面二數大葉), [계면(界面)] 삼삭대엽(三數大葉), 만횡(蔓橫) 반지기(半之只), 농(弄), 계락(界樂), 우락(羽樂), 우언락(羽言樂), 편락(編樂), 편삭대엽(編數大葉), 북전(北殿) 후정화(後庭花), 여창(女唱) 우조(羽調) 이삭대엽, 여창 계면조[이삭대엽], 여창 농, 여[창] 계락, [여창] 우락, [여창] 편삭대엽, 장진주(將進酒), [대(臺)] 등이다.

의의와 평가

서문이나 발문, 작자명 등 상세한 정보가 빠져 있는 것은 『영언』의 결점이라 할 수 있다. 이 필사본에는 작자명이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당시 가창되던 악곡의 이름들을 망라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악곡별 방식으로 편찬된 가집임을 알 수 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성립된 농(弄)·낙(樂)·편(編)의 편가(編歌) 방식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19세기 초·중반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 이삭대엽의 파생곡 ‘두거(頭擧)’가 나타나지 않는데,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본다면 이 가집은 같은 시기의 『가보(歌譜)』나 『흥비(興比)』보다 앞서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여창(女唱)’의 항목을 명시한 동시대의 가집들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영언』(성무경, 보고사, 2007)
「가곡 가집 영언의 문화적 도상」(성무경,『고전문학연구』23, 한국고전문학회, 2003)
집필자
조규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