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문고시 ()

목차
고전시가
문헌
19세기 후반 한시 · 가사 · 풀이 · 소설 · 민요 · 생활지혜 등을 국문 등을 필사한 가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세기 후반 한시 · 가사 · 풀이 · 소설 · 민요 · 생활지혜 등을 국문 등을 필사한 가집.
내용

필사본, 편자와 간행 연도 미상, 1책 58장, 31.6×20.6㎝.

한시(고시)·가사·풀이·소설·민요·생활지혜 등 다양한 분야의 운문들과 산문들을 낭송하기 편하게 토를 달아 국문으로 필사한 문헌이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의 제목은 ‘십구수, ᄇᆡᆨ두음, 화츙가, 탄우가, 탄노가, 삼국가, 화음옥즁긔록, 쳔ᄌᆞ푸리, ᄉᆞᆫ즁풍경, 규중감응편, ᄇᆡ틀가, 물드리는 법, ᄒᆡ바라긔 드리ᄂᆞᆫ 법, 의복의 무든 것 ᄲᅡ는 법, 언문ᄎᆡᆨ목녹’ 등이다. 예컨대 ‘십구수’는 원래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로서 한나라 말기에 일군의 무명시인들이 창작한 일련의 서정시를 말한다. 즉 소명태자(昭明太子)가 편찬한 『문선(文選)』 「잡시(雜詩)」의 고시(古詩) 19수(〈행행중행행(行行重行行)〉·〈청청하반초(靑靑河畔草)〉·〈청청능상백(靑靑陵上柏)〉·〈금일양연회(今日良宴會)〉·〈서북유고루(西北有高樓)〉·〈섭강채부용(涉江采芙蓉)〉·〈명월교야광(明月皎夜光)〉·〈염염고생죽(冉冉孤生竹)〉·〈정중유기수(庭中有奇樹)〉·〈초초견우성(迢迢牽牛星)〉·〈회거가언매(回車駕言邁)〉·〈동성고차장(東城高且長)〉·〈구거상동문(驅車上東門)〉·〈거자일이소(去者日以疏)〉·〈생년불만백(生年不滿百)〉·〈늠름세운모(凜凜歲云暮)〉·〈맹동한기지(孟冬寒氣至)〉·〈객종원방래(客從遠方來)〉·〈명월하교교(明月何皎皎)〉)가 그것들인데, 각 시의 음을 국문으로 읽고 토를 붙인 다음 아래쪽에는 번역을 달아 놓았다. ‘19수’를 맨 앞에 배치한 점으로 미루어 이 책에서 이 부분을 매우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여성 관련 생활지혜를 덧붙인 점, 궁서체의 달필로 쓰여 있는 점 등은 이 책이 국문을 터득한 당대 여성들의 교양 확충을 위해 만들어졌을 가능성 또한 보여 준다.

참고문헌

『언문고시(諺文古詩)』(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동양문학비평용어사전: 중국편』(임종욱, 범우사, 1997)
『중국문학비평사』(주훈초 외, 이론과 실천, 199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