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시인집』은 『재만조선시인집(在滿朝鮮詩人集)』과 함께 만주 지역 조선족 문단을 대표하는 최초의 합동 시선집이다. 조국을 떠나온 자들이 흔히 갖기 쉬운 향수를 만주에 대한 정착의 서정으로 바꾼 내용과 주제의 시들이 많다. 박팔양(朴八陽)이 서문에서 말한 것처럼 “만주는 우리를 길러준 어버이요 사랑하여 안어 준 안해”라는 생각을 강하게 갖고 있었고, 수록 시들의 대부분은 그런 서정을 표출한 것들이다. 대책 없는 향수와 디아스포라의 신산(辛酸)함을 드러내기보다 “시들지 않는 세월을 차저와서 건전한 생의 탑을 싸흐려는 우리들의 기원이 이 땅 이 나라의 한울과 별과 개울과 밀림과 바람과 부락 속에 서리여 잇는 것을 이곳에 사는 사람으로 누가 시인치 아니하랴?”고 반문한 박팔양의 선언에서 보듯이 만주를 자기 땅으로 개척해 가려는 의지를 공유하는 정서가 내용의 주류를 이룬다.
『만주시인집』에는 유치환(〈편지〉·〈귀고(歸故)〉·〈하얼빈도리공원(哈爾濱道裡公園)〉), 윤해영(〈해란강(海蘭江)〉·〈오랑캐 고개〉·〈사계(四季)〉·〈발해고지(渤海故址)〉), 신상보(〈흑과 갓치 살갯소〉·〈사막(沙漠)〉·〈여인숙(旅人宿)〉·〈걸인(乞人)〉), 송철리(〈노변음(爐邊吟)〉·〈도라지〉·〈북쪽하늘엔〉·〈추억(追憶)〉), 조학래(〈역(驛)〉·〈심문(心紋)〉·〈방황(彷徨)〉·〈만주(滿洲)에서〉), 김조규(〈P소년일대기(少年一代記)〉·〈호궁(胡弓)〉·〈실내(室內)〉), 함형수(〈나의 신(神)은〉·〈귀국(歸國)〉·〈나는 하나의〉·〈비애(悲哀)〉), 장기선(〈새날의 기원(祈願)〉·〈아츰〉·〈구름〉·〈꿈〉), 채정린(〈별〉·〈북으로 간다〉·〈밤〉), 천청송(〈선구민(先驅民)〉·〈고화(古畵)〉), 박팔양(〈계절(季節)의 환상〉·〈사랑함〉) 등 11명의 작품 36편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