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서전 ()

현대문학
개념
어떤 사람이 자신의 생애를 기술한 전기. 회고록.
이칭
이칭
회고록
정의
어떤 사람이 자신의 생애를 기술한 전기. 회고록.
개설

자서전은 저자-화자-주인공이 같으며, 변화와 지속성 같은 시간적 연쇄로 이루어진 삶을 소재로 하는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분량에 어떠한 제약도 없으며, 이야기의 방식에도 별다른 기준이 없을 만큼 자유롭지만, 삶에 대한 솔직한 서술은 자서전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조건이다. 회고록, 회상록, 고백록, 자서전적 소설 등의 비슷한 장르가 있다. 회고록은 주인공의 내면이나 정신세계 보다는 외부의 사건을 중심으로 개인의 삶을 기록한다는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큰 틀에서는 자서전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자서전은 자신의 삶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는 인간 정신의 산물이다. 서양에서는 5세기의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같은 종교적 자서전이 오래된 전통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하지만 동양에서는 자서전이 흔하지 않았다. 사람의 일생을 한문으로 쓰는 전(傳) 양식은 일찍부터 발달하였으나, 이는 원래 역사서의 열전에 수록되던 것이어서 객관적인 서술과 평가를 필수 요건으로 하였다. 이런 전통 속에서 자신을 서술하고 평가해야 되는 자서전이 발달하기는 어려웠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문 대신 국문을 주로 사용하는 여성 자서전 작가들이 나타났다. 여성의 삶은 공식적인 평가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자유롭게 자서전적 글쓰기의 대상이 되었다.

근대적 의미의 자서전은 18세기 후반 서구사회에서 개인의 정체성 문제와 연결되어 등장하여, 개인의 존재에 가치를 부여했던 서구 개인주의와 더불어 발전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삶의 다양성을 표현하는 자서전적 소설과 같은 문학 형식으로 확장되어 갔다. 물론 자서전적 소설과는 달리 개인의 생애를 기술한 본래적 의미의 자서전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내용

우리 역사가 전하는 자서전적 텍스트는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의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과 최해(崔瀣)의 「예산은자전(猊山隱者傳)」을 먼저 꼽을 수 있다. 이것들은 자신을 바로 등장시키지 않고 어떤 가상의 인물에 의탁해서 쓴 탁전(托傳) 형식의 짧은 글이다.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쓴 회고록 형식의 자서전이 많이 나왔는데,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의 『한중록(閑中錄)』이 유명하다. 숙종 때 재상 유명천(柳命天)의 부인인 한산이씨(韓山李氏, 1659~1727)가 자신의 생애를 회고한 「고행록」을 비롯하여, 풍양조씨(豊壤趙氏, 1772~1825)가 쓴 「자기록」, 윤선도 대종손의 부인 광주이씨(廣州李氏, 1804~1863)가 쓴 「규한록(閨恨錄)」 등 남들이 부러워하는 명문가의 여성들이 일생을 회고하면서 거듭되는 고난과 내면의 번민을 국문으로 기록한 경우도 있다.

한편, 구한말 안중근은 옥중에서 자서전 「안응칠역사(安應七歷史)」을 한문으로 써서, 일본의 침략을 받고 기울어 가는 나라 형편을 말하고 의병을 일으켜 싸운 경과를 서술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었던 김구의 『백범일지』는 단순한 삶의 행적이 아닌 사회적, 역사적 환경에서의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자서전의 전형을 보여준다. 독자는 『백범일지』를 통해 저자의 시대와 인물을 추체험할 수 있다.

자서전적 소설로는 나혜석의 「경희」,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서영은의 『그녀의 여자』, 신경숙의 『외딴 방』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박완서의 소설 작품들은 대부분 자서전적 글쓰기와 연루되어 있다.

현황

현대의 자서전은 현대적 가치를 반영하면서 변화되고 확장되어 가는 추세이다. 현대의 자서전 작가는 더 이상 ‘나는 이렇게 되었다’라는 문투가 아니라 ‘나는 이렇게 나를 만들어 나갔다’라는 문투로 자서전을 집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터넷 시대가 되면서 공식적인 역사나 내러티브를 넘어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고 표출하고 싶은 욕망이 커지면서 다양한 형식의 자서전이 등장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다. 예컨대 노무현의 『여보, 나 좀 도와줘』와 같은 고백에세이 등이 자서전적 글쓰기의 영역을 넓히고 있고, 개인의 삶을 영상으로 구성한 영상자서전도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구술사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민중들이 구술한 구술자서전이 널리 편찬되는 추세이다.

의의와 평가

자서전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관점은 역사적 기록과 증언의 차원에서 자서전의 가치를 판단하였다. 자서전의 진실성을 문학적 또는 예술적 기능보다 중요한 가치로 간주하는 것이다. 하지만 점차 자서전에 나타난 자아의 고유성을 강조하며 서술 형식과 미적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론적 또는 비평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자서전적 글쓰기는 자신을 서술하고자 하는 욕망의 증가와 형식의 다양화로 인해 어느 때보다도 내용 자체의 진실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는 상황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문학통사』(조동일, 지식출판사, 2005)
「자서전 이론에 대한 몇 가지 고찰」(이가야,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3, 2008)
「자서전 연구의 성격과 전망」(최경도, 『영미문학교육』12집 1호, 2008)
「한국여성소설과 자서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박영혜·이봉지, 『아세아여성연구』40, 2001)
집필자
장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