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로식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창극사
조선창극사
정치·법제
인물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노동당 중앙검사위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판소리 연구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고종 28) 11월 29일
사망 연도
1965년 7월 12일
본관
동래(東萊)
출생지
전라북도 김제군 만경면
관련 사건
3·1운동|물산장려운동|민립대학설립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노동당 중앙검사위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판소리 연구자.
개설

1891년 11월 29일 전라북도 김제군 만경면에서 정석필(鄭錫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출생 후 곧바로 작은아버지인 장희안(鄭希顔)에게 양자로 들어갔으며,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에서 법학을 전공하였다.

생애

정로식은 1922년 조선청년연합회 제3회 대회에서 집행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46년 2월 좌우합작통일전선체제인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의 중앙집행위원 겸 재정부장, 남조선신민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12월 남조선노동당 중앙본부 중앙위원으로 있다가 1948년 월북하였다. 그는 1948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1949년 남북의 민주주의민족전선이 통합된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1956년 노동당 중앙검사위원, 1957년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 및 상임위원, 1958년 평화옹호전국민족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한 뒤 1961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에 선임되었다.

활동사항

정로식은 1919년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3·1운동’에 참여하여 일제에 의해 투옥되었다. 1921년 상하이에서 고려공산당에 입당하여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민립대학설립운동과 물산장려운동에 참여하였으며, 1924년 조선청년총동맹 창립에 관여했다. 저서인 『조선창극사』는 최초의 본격적인 판소리 저술로 꼽힌다.

1965년 7월 12일에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정노식론』(유영대, 한국민속학회, 1995)
『한국공산주의운동사 (2)』(김준엽·김창순, 청계연구소, 1986)
『남로당연구』(김남식, 돌베개,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임채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