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광복회 ()

정치·법제
단체
북한에서 일제 하 김일성이 조직한 우리 민족 최초의 반일민족통일전선 조직으로 선전되고 있는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에서 일제 하 김일성이 조직한 우리 민족 최초의 반일민족통일전선 조직으로 선전되고 있는 단체.
설립목적

북한의 문헌들이 서술하고 있는 조국광복회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김일성은 1936년 2월남호두(南湖頭: 中國 寧安縣 소재)회의에서 반일민족통일전선운동을 확대하기로 천명하고, 그후 반일민족통일전선의 강령, 규약, 창립선언을 작성하고, 준비위원회를 조직하는 등의 준비를 했으며, 그러한 준비에 기초하여 1936년 5월동강(東崗: 中國 撫松縣 소재)에서 조선인민혁명군 군정간부회의를 개최하고, 조국광복회라는 상설적인 반일민족통일전선체를 결성하기로 결정했다. 김일성은 그해 5월 5일 조국광복회의 창설을 선포했으며, 조국광복회의 회장으로 추대했다. 조국광복회는 지하혁명조직이었다.

연원 및 변천

김일성은 조국광복회 창건 후 그 조직을 확대강화하기 위하여 압록강 연안일대는 물론 국내에 정치공작원들을 수많이 파견하였다. 김일성은 1937년 초에 조국광복회 장백현위원회를 결성했으며, 그에 따라 한만 국경일대에 조국광복회의 세력이 급속히 확대되었다.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1937년 1월에는 조국광복회 국내조직의 하나인 조선민족해방동맹이 결성되었고, 그 산하에는 40여개의 하부조직이 결성되었다. 조국광복회 조직망은 여러 가지 명칭을 사용하면서 백두산 근저지를 중심으로 함경남북도평안남북도강원도경기도경상남도를 비롯한 전국의 도시와 농촌들에 세력을 확대했고, 만주의 동부, 남부, 북부 일대의 넓은 지역에까지 세력을 확대했다.

기능과 역할

김일성은 조국광복회 10대 강령을 작성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광범한 반일민족통일전선을 실현하여 일본제국주의의 통치를 전복하고 조선인민정부를 수립할 것, 2)재만 조선인들은 중국민족과 연합하여 일본 및 ‘만주국’을 전복하고 중국영토 내에 조선인민의 민족자치를 실행할 것, 3)일본군대 헌병 경찰 및 그 주구들의 무장을 해제하고 조선의 독립을 위한 혁명군대를 조직할 것, 4)일본국가, 일본인, 친일분자의 전체 재산과 토지를 몰수하여 독립운동의 경비에 충당하고, 일부분으로는 빈민을 구제할 것, 5)일본 및 그 주구들의 인민에 대한 채권, 각종 세금을 폐지하여 대중생활을 개선하며 민족적 공, 농, 상업을 발전시킬 것, 6)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전취하고 왜놈의 공포정책과 봉건사상장려를 반대하며 일체 정치범을 석방할 것, 7)불평등을 배제하고 남녀, 민족, 종교 등 차별이 없는 평등을 실현할 것, 8)노예노동과 노예교육의 철폐, 강제적 군복무 및 청소년에 대한 군사교육을 반대하며 우리 말과 글로써 교육하고 의무적인 무상교육을 실시할 것, 9)8시간 노동제 실시, 노동조건의 개선, 임금의 인상, 노동법의 확정, 국가기관으로부터 각종 노동자의 보험법을 실시하며 실업자를 구제할 것, 10)조선민족에 대하여 평등적으로 대우하는 민족 및 국가와 연합하며 우리 민족해방운동에 대하여 선의와 중립을 표시하는 나라 및 민족과 동지적 친선을 유지할 것 등이다. 조국광복회 10대강령은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구현한 것이며, 우리 민족 혁명사에 최초로 등장한 맑스·레닌주의적 강령인 이 10대 강령의 사상은 해방 후 북한 공산당의 정치노선과 20개조 정강에 계승되고 구체화되어 북한의 혁명과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확고한 지침이 되었다.

의의와 평가

북한정권의 역사조작에 비판적인 남한학자들은 김일성이 조국광복회를 조직한 사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일제하 만주에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 단체 중에 조국광복회라는 단체는 없었다고 말한다. 그들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조직된 오성륜(吳成崙, 가명 全光) 등이 중심이 된 재만한인조국광복회(在滿韓人祖國光復會)가 1936년 6일10일 결성된 바 있으며, 이 재만한인조국광복회와 그들의 활동을 북한정권이 왜곡하고 과장하여 김일성이 조국광복회를 조직했고 그 활동이 광범했던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력의 역사: 조선노동당의 근대사』제2판(이명영, 종로서적, 1989)
『현대조선력사』(김한길, 사회과학출판사, 1983)
『정치사전』(사회과학출판사,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