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농회 ()

근대사
단체
일제가 조선농민을 착취하기 위해 설립한 농촌단체로, 농촌진흥운동을 촌락단위의 전면에서 추진한 관제조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가 조선농민을 착취하기 위해 설립한 농촌단체로, 농촌진흥운동을 촌락단위의 전면에서 추진한 관제조직.
개설

일제 식민지 시기 1933년부터 이른바 농촌진흥운동이 일제에 의해 실시되었다. 이것은 만주침략을 수행하기 위한 ‘총후의 안정책’이었고 새로운 농촌·농민통제책이었다. 조선농회는 바로 농촌진흥운동을 전면에서 추진한 관제조직의 하나였다.

설립목적

1933년 기존 농업관련 단체의 조선농회로의 통일은 농업공황 타개책의 일환이었으며, 농업단체의 중복가입으로 인한 농민들의 회비 중복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였다. 조선농회의 설립은 궁극적으로 만주침략 수행에 필요한 병참물자를 효과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취한 조치이기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농회는 한말부터 민간에 의해 비영리단체로 운영되기도 하였으며, 1910년대에는 권농모범장 등 일본인 관리와 대지주가 주축이 된 관제단체들이 존속하였다. 1920년대에는 조선농회 계통체제를 마련하였으며, 1930년대 농촌진흥운동의 변화에 조응하여 조선농회는 기존 농업단체의 통합정리를 추진하였다.

기능과 역할

1933년 조선농회로의 통합 완료 후, 사업활동이 크게 전환되었다. 즉 산미증식기의 농사개량사업 보다 미곡·면화·잠견·축산·비료·농기구 등의 공동 구판사업과 농업창고 설립 경영사업에 주력하였다.

의의와 평가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식민지 수탈체제인 식민지 지주제를 유지 강화하는데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농촌진흥운동기 조선농회의 성격 변화」(김용달,『한국근현대사연구』10, 1999)
「조선농회의 계통체제 수립과 초기사업(1926∼32)」(김용달,『한국근현대사연구』4, 1996)
「日本帝國主義"フ朝鮮"ノ"ィ"ッ"e農村政策」(堀和生,『日本史硏究』171, 1976)
집필자
박성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