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편병(扁甁)은 조선 전반기 주로 15세기에 유행했던 기종으로 백자나 분청사기, 흑유자 등에 골고루 나타난다. 고려 청자의 편병이 둥근 항아리를 제작한 후 양 옆구리를 적당히 두들겨서 항아리의 느낌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것과 달리 조선시대 편병은 더 두들겨서 납작하게 하거나 아예 접시 두 장을 별도로 제작하여 붙이기도 하였다. 이 편병의 경우는 전자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비교적 둥글고 양감이 있는 형태다. 어느 경우든 편병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납작한 형태의 병으로, 술병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분청사기 시문기법은 그 방법에 따라 상감, 음각(조화), 인화, 박지, 귀얄, 덤벙, 철화 기법 등으로 나뉘는데, 이 편병은 회청색의 태토 위에 백토(白土)를 덧바르고 문양의 바깥 부분을 긁어내는 박지(剝地) 기법을 사용하였다. 박지기법은 회청색의 태토와 백색의 분장토(粉粧土)가 강한 색상 대비 효과를 보여주는 시문기법인데, 경우에 따라서 태토 부분에 철채(鐵彩)를 해서 색상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분청사기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문양으로는 연화(蓮花), 모란, 물고기 등이 있는데, 이전 시기의 고려 청자와는 달리 화면을 가득 채우는 문양 구성에 개성적이고 대담한 필치가 특징이다. 유약은 밝은 회청색 유를 굽바닥까지 시유하였고, 높은 굽의 접지면에 모래를 받쳐서 번조한 흔적이 남아 있다.
이 편병의 양면에 화면 가득 시문된 연꽃과 잎은 매우 풍성하고 역동적이며, 꽃잎에 부분적으로 점을 찍어서 꽃을 강조한 점이 특이하다. 한쪽으로 기운 구연부와 완벽하게 채색되지 않아 더욱 호감이 가는 몸체의 분장, 부드러운 꽃잎의 표현 등이 분청사기 특유의 자연미와 건강미를 보여준다.
편병은 일반적인 둥근 병에 비해 부피는 작지만 사용이 편리해서 보다 실용적인 형태로 제작된다. 이 작품은 당당한 형태에 시원스런 문양장식이 잘 어우러져 있는 작품으로 조선시대 자기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