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박지연화문 편병 ( )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청사기 박지연화문 편병(粉靑沙器 剝地蓮花文 扁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분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3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
개설

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편병(扁甁)은 조선 전반기 주로 15세기에 유행했던 기종으로 백자나 분청사기, 흑유자 등에 골고루 나타난다. 고려 청자의 편병이 둥근 항아리를 제작한 후 양 옆구리를 적당히 두들겨서 항아리의 느낌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것과 달리 조선시대 편병은 더 두들겨서 납작하게 하거나 아예 접시 두 장을 별도로 제작하여 붙이기도 하였다. 이 편병의 경우는 전자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비교적 둥글고 양감이 있는 형태다. 어느 경우든 편병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납작한 형태의 병으로, 술병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분청사기 시문기법은 그 방법에 따라 상감, 음각(조화), 인화, 박지, 귀얄, 덤벙, 철화 기법 등으로 나뉘는데, 이 편병은 회청색의 태토 위에 백토(白土)를 덧바르고 문양의 바깥 부분을 긁어내는 박지(剝地) 기법을 사용하였다. 박지기법은 회청색의 태토와 백색의 분장토(粉粧土)가 강한 색상 대비 효과를 보여주는 시문기법인데, 경우에 따라서 태토 부분에 철채(鐵彩)를 해서 색상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한다. 분청사기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문양으로는 연화(蓮花), 모란, 물고기 등이 있는데, 이전 시기의 고려 청자와는 달리 화면을 가득 채우는 문양 구성에 개성적이고 대담한 필치가 특징이다. 유약은 밝은 회청색 유를 굽바닥까지 시유하였고, 높은 굽의 접지면에 모래를 받쳐서 번조한 흔적이 남아 있다.

특징

이 편병의 양면에 화면 가득 시문된 연꽃과 잎은 매우 풍성하고 역동적이며, 꽃잎에 부분적으로 점을 찍어서 꽃을 강조한 점이 특이하다. 한쪽으로 기운 구연부와 완벽하게 채색되지 않아 더욱 호감이 가는 몸체의 분장, 부드러운 꽃잎의 표현 등이 분청사기 특유의 자연미와 건강미를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편병은 일반적인 둥근 병에 비해 부피는 작지만 사용이 편리해서 보다 실용적인 형태로 제작된다. 이 작품은 당당한 형태에 시원스런 문양장식이 잘 어우러져 있는 작품으로 조선시대 자기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분청사기』(정양모, 중앙일보사, 1976)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