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철화 모란문 장군 ( 장군)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에 철화기법으로 제작된 분청사기 장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청사기 철화모란문 장군(粉靑沙器 鐵畵牡丹文 獐本)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분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3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철화기법으로 제작된 분청사기 장군.
내용

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장본(獐本)이라고도 불리는 장군은 술병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장군은 분청사기 장군 가운데 규격이 큰 편으로, 높이가 21.7㎝이고, 입지름은 5.2㎝, 길이 31.2㎝이다. 전면에 짙은 철화로 문양을 가득 시문하였다. 회청색의 태토 위에 귀얄을 이용하여 백토를 두껍게 덧발랐는데, 한쪽 측면과 굽의 안쪽은 분장하지 않았다. 장군은 통체를 원통형으로 물레에서 성형한 후에 옆으로 뉘여서 주구(注口)와 굽을 따로 붙여서 만드는데, 백토가 분장되지 않은 한 쪽 면은 성형 시에 물레와 닿는 부분이다.

이 분청사기 장군의 문양을 살펴보면, 가운데 기하학적으로 묘사된 꽃을 중심으로 커다란 꽃잎이 좌우 대칭을 이루는 안정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 작품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철화분청사기에 자주 등장하는 모란문(牡丹文)은 대체로 비슷한 모양이고, 이 작품의 모란문 역시 유사하다. 모란의 전체 윤곽선은 가늘게 그렸으나 꽃과 잎의 면을 넓고 짙게 칠하여, 백색의 바탕과 강한 대조를 이룬다. 이 장군에 시문된 모란문은 백토 위에 산화철 안료로 문양을 그리는 철화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측면의 문양은 연하게, 몸체 중앙은 진하게 그려 넣어 농담과 색상 대비 효과를 꾀하고 있다. 또한 시문된 문양은 기하학적 대칭성을 기본으로 하지만 대담한 필치에서 자유분방함을 느끼게 한다.

특징

철화기법은 인화나 상감기법보다는 다소 늦은 시기에 유행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철화분청사기의 출토지역도 인화나 상감기법 분청사기가 전국적으로 출토되는 것과 달리 충청도와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출토되어 철화안료 생산과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갈색을 띠는 암회색 태토에는 가는 사립(沙粒)이 포함되어 있어 태토 안에 철분 성분이 꽤 높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발색이 일정하고 윤택이 좋은 편이다.

의의와 평가

이 장군은 발색이 일정하고 윤택이 좋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투명유인 유약은 유층이 얇고 일부가 불완전하게 용융되었으나 전체적인 상태는 우수하며 광택도 은은하다.

참고문헌

『분청사기명품전 2』(호암미술관, 2001)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