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사 괘불탱 ( ▽)

산청 율곡사 괘불탱
산청 율곡사 괘불탱
회화
작품
국가유산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율현리 율곡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율곡사 괘불탱(栗谷寺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1년 08월 03일 지정)
소재지
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곡사길 182 (율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율현리 율곡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개설

1684년(숙종 10)법림(法琳)·숙련(淑連)·자명(自明) 등이 그렸으며, 1729년(영조 5)에 명열(明悅)·신영(信暎)·최우(最祐) 등이 중수했다고 전하고 있다. 2001년 8월 3일 보물로 지정되어, 율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세로 827㎝, 가로 475㎝ 크기의 1폭 불화로, 보관을 쓴 단독 불입상의 괘불탱이다. 화면 중앙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두 손으로 꽃가지를 받쳐 든 존상이 발을 약간 벌리고 정면을 향하여 당당하게 서 있으며, 그 좌우로는 20여 송이의 활짝 핀 모란꽃이 그려져 있다. 본존은 녹색의 두광을 지니고 있으며, 머리에는 화불 5구가 그려진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는데, 둥근 얼굴에 치켜 뜬 듯한 가는 눈과 긴 코, 유난히 작은 입 등 이목구비가 단정하다.

신체는 어깨가 둥글고 장대하며 건장한 편으로 두 어깨에는 화려한 꽃무늬가 그려진 붉은 법의를 걸치고 있는데, 옷자락이 좌우로 날카롭게 뻗어 내린 모습은 신체의 존상을 더욱 당당하게 보이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귀를 감싸고 어깨 위로 흘러내린 머리카락이 어깨선을 따라 길게 흘러내리고 있다. 수인은 왼손은 아래로 내리고 오른손은 어깨 부근으로 올려 두 손으로 붉은색과 흰색의 꽃이 핀 꽃가지를 받쳐 들고 있는데, 가지를 잡은 두 손이 아주 섬세하게 묘사되었다.

의의와 평가

전반적인 보존상태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단정하고 세련된 필선과 우아하고 균형 잡힌 신체비례, 호화로우면서도 안정감 있고 조화로운 색채, 다양하고 섬세한 문양 표현 등 17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 이 시기 불화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조선조 불화의 연구』(문명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문화재청(http://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