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편병은 먼저 항아리를 제작한 후 동체를 두들겨 평평한 두 면을 갖추었다. 고려 후반에 접어들면 이러한 예들이 많이 제작되는데, 편호(扁壺)라고 해도 무방한 형태이다.
이 편병은 반구형(盤口形)의 구연을 하고 있으며, 특이한 점은 양쪽 어깨에 귀면(鬼面) 장식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 귀면은 동체(胴體)와는 별개로 제작하여 부착한 것으로 이러한 장식기법을 이른바 첩화장식(貼花裝飾)이라고 한다. 귀면의 입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고, 그 아래로 둥근 고리가 물려져 있어서 출입문의 손잡이를 표현한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그 장식적 효과가 뛰어나다.
이 편병의 상하종속문에는 연판문이 흑백 상감으로 시문되었으며 둥근 도장을 연이어 찍어서 조합한 연주문(連珠文)을 연판문 안에 시문하였다. 중심 문양대 중에서 편평한 넓은 면에는 능화형(菱花形)의 화창(花窓)을 내어 바람에 날리는 듯한 버드나무와 이 버드나무의 위아래에 여러 마리의 수금(水禽)들을 간략히 시문하였는데 그 포치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는 고려시대 중기 많은 청자 애호가들이 선호하던 소위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을 연상시킨다. 고려 중기와 다른 점은 사각이나 원형의 화면이 능화형 창에 의해 구획되고 각각의 표현이 간단한 윤곽선 위주로 변한 점이다. 화창 밖으로는 긴 대나무와 Y자형으로 갈라진 활짝 핀 매화 한 줄기를 마치 그림의 한 장면처럼 새겨 넣었다. 시문된 문양들은 청자에 자주 등장하는 문양들로 흑백으로 능숙하게 상감되었다. 유색은 회청색에 가까우며 가는 균열이 기면 전체에 퍼져 있다.
고려 후기, 특히 원과의 전쟁 이후 원의 문물이 고려로 유입되면서 청자 편병이나 편호의 경우 능화형 화창을 두는 경우가 많아진다. 예를 들면 개성 만월대에서 출토된 청자상감화금수하원문편병(靑磁象嵌畵金樹下猿文扁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파편을 들 수 있다. 이 편병의 굽은 다소 낮은 편으로 저부 전체를 시유한 다음 접지면과 굽 안쪽의 유약을 일부 닦아내고 모래를 받쳐 번조하였다.
고려 후기에는 중국 원나라의 문물이 고려로 유입되면서 그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으며, 이 편병에 보이는 어깨 장식의 귀면조각 또한 당시 원나라에서 유행하던 청화백자의 장식과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