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구연부가 좁고 직립하며 둥그런 어깨를 가진 양감이 풍부한 매병으로, 고려 중기 매병의 전형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 매병은 안정감 있는 기형이 귀족적인 분위기의 색상과 어울려 고려 귀족의 위엄을 그대로 느끼게 한다. 문양의 시문 솜씨도 매우 뛰어나서 보는 이로 하여금 생동감과 입체감을 실감하게 한다.
동체(胴體) 전면에 서로 마주보면서 승천하는 듯한 형상의 용 2쌍을 화면 가득 배치하였고, 용과 용 사이에는 여의주가 시문되어 있어 용이 여의주를 잡으려는 순간을 묘사하였다. 용의 몸체는 심한 용트림을 하고 있고 다리와 발톱은 크고 힘차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역동적인 모습의 용은 몰아치는 듯한 파도와 함께 위엄을 더해 준다. 용의 머리 부분과 등의 갈퀴 등이 리듬감 있고 세밀하게 표현되었으며, 매병의 어깨와 용의 아래 하단 부분에는 여의두문이 변형된 구름을 빈틈없이 빽빽하게 새겨 넣었다. 용문은 윤곽선의 주변을 넓고 깊게 파내서 용이 두드러져 보이도록 했고, 그 배경의 파도는 가는 음각선으로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고려 초기나 중기 청자에는 연화, 모란, 연판, 새 등의 다양한 문양이 시문되었던 것에 반해, 용문은 자주 시문되지는 않았다. 반면 고려 말기나 조선 초기의 상감청자나 분청자기의 경우에는 용문이 종종 시문되었지만 이 매병처럼 음각이나 양각 기법의 용문은 그 유례가 많지 않다. 이처럼 용이 정성스럽게 시문된 질이 좋은 자기는 왕실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그 제작 수량은 한정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이렇게 용문이 시문된 또 다른 예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尙藥局(상약국)’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약합(藥盒)이 있는데, 뚜껑에 용문이 음각기법으로 시문되어 있다.
이 매병은 힘이 넘치는 듯한 용의 자태와 거세게 몰아치는 파도, 잔잔하면서도 힘 있는 뭉게구름은 물론, 우아한 매병의 형태와 담록의 비색, 섬세한 문양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 고려 최절정기 청자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