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작품은 차나 술을 담아 마시는 주자와 이를 받치는 승반이 한 세트로 갖추고 있으며 12세기 무렵에 제작되었을 것이다.
주자의 몸체는 공처럼 둥근 형태이고 양쪽에 손잡이와 주둥이가 달려 있다. 손잡이에는 뚜껑과 실이나 끈으로 연결시키도록 고리가 달려 있다. 뚜껑은 원판 형태이며 윗면에 역시 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승반은 구연의 끝이 밖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밖으로 벌어지는 형태이다. 문양은 백토(白土)와 산화철이 많이 포함된 붉은 흙인 자토(赭土)를 붓에 묻혀 그리는 퇴화(堆花)기법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주자의 몸체에는 모란절지문을 거칠지만 큼직하게 하나씩 배치하였으며 활달한 필치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주둥이와 손잡이에는 흑백의 굵은 선을 번갈아 그리고, 몸체에 주둥이와 손잡이가 부착된 부분에는 여의두문을 그려 넣었다. 승반의 바깥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세 곳에 간략화된 모란절지문(牡丹折枝文)을 시문하였다. 고려청자에 사용된 퇴화기법은 모란절지문, 연화절지문, 국화절지문, 유화문(柳花文) 등을 자유분방한 필치로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그릇에 작은 점을 찍은 꽃문양, 그리고 승형상(僧形像)이나 봉형주자(鳳形注子)와 같은 상형청자의 일부분을 장식할 때도 사용된다. 유약은 전체적으로 회청색을 띠는 반투명의 청자유이며, 주자의 아랫부분에는 빙렬이 보인다. 주자와 승반의 바닥에는 황갈색의 점토와 모래가 섞인 번조빚음을 받쳐 구웠고, 뚜껑에는 백색의 내화토빚음을 받쳐 구워낸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작품은 퇴화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했다. 주자 몸체에 장식한 모란절지문은 거칠지만 활달한 필치가 돋보인다. 승반의 문양은 간략하게 묘사하였다.
이 작품은 주자와 더불어 이를 받치는 승반이 한 세트로 전하는 고려 중기의 청자이며 당시 고려청자 제작과 퇴화기법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