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퇴화 화문 주전자 및 승반 ( )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중기에 제작된 청자 주자와 승반.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靑磁 堆花花文 注子 및 承盤)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4년 11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중기에 제작된 청자 주자와 승반.
개설

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작품은 차나 술을 담아 마시는 주자와 이를 받치는 승반이 한 세트로 갖추고 있으며 12세기 무렵에 제작되었을 것이다.

내용

주자의 몸체는 공처럼 둥근 형태이고 양쪽에 손잡이와 주둥이가 달려 있다. 손잡이에는 뚜껑과 실이나 끈으로 연결시키도록 고리가 달려 있다. 뚜껑은 원판 형태이며 윗면에 역시 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승반은 구연의 끝이 밖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밖으로 벌어지는 형태이다. 문양은 백토(白土)와 산화철이 많이 포함된 붉은 흙인 자토(赭土)를 붓에 묻혀 그리는 퇴화(堆花)기법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주자의 몸체에는 모란절지문을 거칠지만 큼직하게 하나씩 배치하였으며 활달한 필치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주둥이와 손잡이에는 흑백의 굵은 선을 번갈아 그리고, 몸체에 주둥이와 손잡이가 부착된 부분에는 여의두문을 그려 넣었다. 승반의 바깥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세 곳에 간략화된 모란절지문(牡丹折枝文)을 시문하였다. 고려청자에 사용된 퇴화기법은 모란절지문, 연화절지문, 국화절지문, 유화문(柳花文) 등을 자유분방한 필치로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그릇에 작은 점을 찍은 꽃문양, 그리고 승형상(僧形像)이나 봉형주자(鳳形注子)와 같은 상형청자의 일부분을 장식할 때도 사용된다. 유약은 전체적으로 회청색을 띠는 반투명의 청자유이며, 주자의 아랫부분에는 빙렬이 보인다. 주자와 승반의 바닥에는 황갈색의 점토와 모래가 섞인 번조빚음을 받쳐 구웠고, 뚜껑에는 백색의 내화토빚음을 받쳐 구워낸 흔적이 남아 있다.

특징

이 작품은 퇴화기법으로 문양을 시문했다. 주자 몸체에 장식한 모란절지문은 거칠지만 활달한 필치가 돋보인다. 승반의 문양은 간략하게 묘사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주자와 더불어 이를 받치는 승반이 한 세트로 전하는 고려 중기의 청자이며 당시 고려청자 제작과 퇴화기법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청자』(중앙일보사, 1987)『高麗朝鮮陶磁名品展』(東京 : 東京富士美術館, 1992)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世界陶磁全集』18 高麗(座石寶刊行會 編, 東京 : 小學館, 1978)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