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 ( )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공예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향완.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향완.
개설

200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향완은 향을 사르는 데 쓰이는 절구 모양의 기물이다. 이 향완의 뒷면에는 1674년(현종 15)에 신애남(辛愛南)이 만들었다고 하는 내용의 명문이 있다.

내용

이 향완의 형태는 넓은 전두리가 달린 밥그릇 모양의 몸체에 나팔을 뒤집은 듯한 모양의 다리 부분으로 되어 있다. 몸체의 표면에는 무늬를 음각으로 새긴 다음 그 곳에 은실을 메워 넣는 이른바 은입사(銀入絲) 기법으로 연꽃, 덩굴, 여의두((如意頭) 무늬 등이 가득 장식되고, 몸체 사방의 한가운데에는 동그란 원 무늬를 배치한 다음 그 속에 ‘梵(범)’자를 장식하였다. 받침은 밑으로부터 원반 모양의 밑판이 위로 올라올수록 좁아져 마치 나팔을 거꾸로 세운 모양인데, 두 날개를 활짝 펴고 구름 속을 날고 있는 봉황 한 쌍을 대칭되게 배치해 놓았다. 또한 윗부분에는 길쭉한 형태의 연꽃잎을 배치하였는데 각 연꽃잎 내부에도 화려한 장식문이 있다.

특징

이 향완은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전통적인 형태로 만들어진 청동은입사향완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 또 은입사기법이 빼어나고 무늬가 섬세하며 몸체와 다리 부분을 별도로 주조하여 결합하는 새로운 접합방식을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수준 높은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이 향완은 조성시기와 장인, 그리고 봉안된 사찰까지 명확하게 밝혀 놓은 기록이 남아 있어 지금까지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조선시대 향완 중에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금속공예』(진홍섭, 일지사, 1980)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소재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