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발장 ()

공예
개념
한지를 뜨는 데 사용하는 한지발을 만드는 기능을 가진 장인.
정의
한지를 뜨는 데 사용하는 한지발을 만드는 기능을 가진 장인.
개설

2005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한지발은 전통 한지를 뜨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가장 핵심적인 도구로서 우리의 한지 제작 활성화에 더없이 중요하다. 한지발장은 2005년 3월 11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주시의 유배근이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아 그 기능을 전승하고 있다.

내용

한지발과 관련된 생산 품목은 한지외발, 한지쌍발, 무늬발 등이다. 한지발은 한국산 대나무와 말총을 사용하여 만드는데, 대체로 대나무 채취→표피작업→대나무 절단→대쪽나누기→대 피죽뜨기→대 삶기→대 건조시키기→대 쪼개기→대끝 깎기→대촉 빼기→대 비비기→실 날기→한지발 엮기→변죽대 달기→한지발틀 만들기→완성 등의 제작과정을 거쳐 고유 한지발이 만들어지고 있다. 유배근 기능보유자는 부친으로부터 한지발 제작 기능을 전수받아 이 분야에 전념하고 있으며, 1985년에 전라북도공예품경진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하고, 1999년 전승공예연구회회원전 출품, 2001년과 2002년 전승공예대전 입선, 2003년 전승공예연구회회원전 출품, 2004년 전주종이문화축제 한지 체험 및 시연, 전승공예연구회회원전 출품 등 다양한 경력을 소유하고 있다.

현황

유배근 기능보유자는 40년 가까이 자택 공방에서 전통 한지발을 재현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특히 대나무와 말총을 가공하는 복잡하고 세밀한 공정에 정통하여 한지발 제작기술 수준이 뛰어나다.

의의와 평가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한지를 생산하는 데 필수적 도구인 한지발의 제작 기능이 한지의 고장 전주에서 전승되고 있음은 의의 있는 일이다. 특히 현재 일본식 쌍발에 밀려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 한지 외발을 되살리기 위해서도 한지발의 제작 기능은 보존 전승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겨례과학인 우리공예』2(정동찬·윤용현, 민속원, 2010)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유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