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방목 ()

조선시대사
문헌
1501년(연산군 7) 2월, 생원진사시에 합격한 사람들의 명단을 수록한 초주 갑인자본 방목. 대한민국 보물.
이칭
이칭
홍치14년신유2월생원진사방(弘治十四年辛酉二月生員進士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501년
권책수
1책
판본
초주 갑인자본
표제
사마방목
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06년 4월 28일 지정)
소재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마방목(司馬榜目)』은 1501년(연산군 7) 2월에 실시된 생원진사시에 합격한 사람들의 명단을 수록한 명부이다. 1434년(세종 16)에 주조한 초주 갑인자(初鑄甲寅字)로 인쇄한 금속활자본으로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501년(연산군 7) 2월, 생원진사시에 합격한 사람들의 명단을 수록한 초주 갑인자본 방목. 대한민국 보물.
서지적 특징

1책으로, 책의 크기는 세로 29.3㎝, 가로 17.1㎝이다. 초주(初鑄) 갑인자(甲寅字)본이다. 간행 시기나 경위는 확인되지 않는다. 진사시 합격자 중 한 명인 문의공(文毅公) 김식(金湜, 1482~1520)의 후손가에 전해지던 것을 18세기에 개장하여 전승한 것이다. 1756년(영조 32) 김식의 후손 김성응(金聖應)이 쓴 발문이 있다. 2006년 4월 28일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도서 등록 명칭은 『홍치14년신유2월생원진사방(弘治十四年辛酉二月生員進士榜)』이다.

역사적 가치

조선에서는 개국 직후부터 생원진사시를 시행하였다. 합격자들은 기념으로 방목을 편찬하였는데, 나중에는 이를 활자나 목판으로 출판하는 것이 관행이 되었다. 이처럼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단을 수록한 방목을 사마방목(司馬榜目)이라고 한다.

출판되어 현전하는 사마방목 가운데 시기가 가장 이른 사례는 1469년(예종 1) 9월에 시행된 시험으로 7년 후인 1476년(성종 7)에 사마방목이 출판되었다(『성화기축6년9월일생원진사시방(成化己丑六年九月日生員進士試榜』, 고려대학교 소장). 그 다음은 1496년(연산군 2) 윤3월과 1501년(연산군 7) 2월에 시행된 시험으로 각각 『홍치9년병진사마방목』( 권벌 종가 전적)과 『홍치14년신유2월생원진사방(弘治十四年辛酉二月生員進士榜)』(계명대학교 소장)이 출판되었다.

세 방목은 형식 면에서 합격자의 정보를 수록하는 방식이 약간 다른데, 세 번째 방목인 1501년 시험의 『사마방목』이 정보가 보다 풍부하며, 후대의 사마방목에 가장 근접해 있다. 이 방목은 합격자 개개인에 대하여 직역, 이름, 자(字), 본관, 거주지, 부(父)의 직역, 이름을 수록하였는데, 후대의 사마방목과 비교하면 출생 연도를 기재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재 사항이 동일하다. 다만 본문에서 본관이나 거주지가 누락된 부분이 많아, 아직 방목 간행을 위한 정보 수집이 여의치 않았던 상황을 엿볼 수 있다.

『사마방목』의 본문은 ‘은문(恩門)’으로 칭한 시관의 명단과 생원시 · 진사시 합격자 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1소(一所, 제1 고시장)의 시관은 우참찬(右參贊) 유순(柳洵), 호조 참판 김심(金諶) 등 6명이고, 2소(二所, 제2 고시장)의 시관은 대사헌 성현(成俔), 동지중추부사 김수동(金壽童) 등 6명이다. 합격자는 생원시와 진사시 각각 100명씩인데, 생원시의 장원이수정(李守貞), 진사시의 장원은 김안국(金安國)이 차지하였다. 뒤에 1756년(영조 32) 김식의 후손 김성응이 쓴 발문이 있다. 이는 조선 전기에 인쇄 출판된 방목으로 금속활자의 인쇄 기술과 사마방목의 발전 과정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원전

『홍치14년신유2월생원진사방(弘治十四年辛酉二月生員進士榜)』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https://library.kmu.ac.kr)
문화재청(http://cha.go.kr)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단행본

송준호, 『이조 생원진사시의 연구』(대한민국 국회도서관, 1970)
최진옥, 『조선시대 생원진사 연구』(집문당, 1998)

논문

계훈모, 「사마방목총록(司馬榜目總錄): 부(附) 사마마시설년연차(司馬試設科年次)」(『역사학보』 88, 역사학회, 1980)
박현순, 「조선시대 과거(科擧) 방목의 편찬과 간행」(『한국문화』 8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최경훈, 「동산도서관 소장 사마방목의 현황과 가치」(『한국학논집』 59,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