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과거 문무과 전시(殿試)에서 갑과 3인 가운데에서 수석으로 급제한 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 조선시대 과거 문무과 전시(殿試)에서 갑과 3인 가운데에서 수석으로 급제한 자.
내용

고려 말기 권보(權溥)가 광종 이후의 좌주(座主)와 장원의 이름을 모아서 『계원록(桂苑錄)』이라는 책을 만든 바 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고 있다.

장원급제자는 동년회(同年會)를 주관하며, 또한 장원급제자들끼리 용두회(龍頭會)를 만들어 그들의 명망을 과시하였다 한다.

장원급제자의 관계진출은, 조선시대 문과의 경우 관품이 없는 자는 종6품직을 제수하며, 관품이 있는 자는 4품을 올려주었다. 무과의 경우는 장원 구분없이 갑과 3인 모두에게 관품이 없는 자는 종7품을 제수하였고, 관품이 있는 자는 3품을 올려주었다.

참고문헌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전율통보(典律通補)』
『경세유표(經世遺表)』
『고려(高麗) 과거제도사(科擧制度史) 연구(硏究)』(허흥식, 일조각, 1981)
『한국(韓國)의 과거제도(科擧制度)』(이성무, 한국일보사,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