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출판
문헌
국가유산
1604년 문신 신경행을 청난공신 3등에 책록한 교서. 종가유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辛景行 淸難功臣敎書 및 關聯 文籍)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국왕문서/교령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3년 08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명암동,국립청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04년 문신 신경행을 청난공신 3등에 책록한 교서. 종가유물.
개설

선조가 신경행에게 내린 청난공신교서 1점과, 신경행을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면서 밀부(密符)를 내린 유서 1점, 사헌부와 사간원의 시호서경(諡號署經) 각 1점, 신경행의 아들 신면(辛勉)에게 내려준 청난원종공신녹권(淸難原從功臣錄券) 1점과 순조가 1812년(순조 12)에 발급한 증시교지(贈諡敎旨) 1점, 시호를 받을수 있도록 김이영(金履永, 1755∼1845)이 작성하여 제출했던 조은신공시장(釣隱辛公諡狀) 1점, 그리고 20공신 회맹록과 21공신 회맹록 각 1점이다.

2003년에 보물로 지정되었고, 영산신씨 충익공파 종중에서 관리하다가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신경행은 1596년(선조 29) 7월에 홍산에서 이몽학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를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1604년(선조 37)에 선조가 청난공신으로 봉하고 교서를 발급하였다. 이듬해인 1605년(선조 38) 4월에는 공신도감에서 신경행의 아들인 주부(主簿)신면에게 청난원종공신녹권을 내려주었다. 1608년(선조 41) 6월에 선조는 신경행을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였고 제1부의 밀부를 내린 유서를 발급하였다.

1694년(숙종 20) 6월에 보사공신을 중심으로 역대의 공신 및 그 적장자들이 모여서 회맹제를 행하여 20공신 회맹록을 작성하였고, 분무공신 녹훈을 계기로 1728년(영조 4) 7월 공신 적장손들이 모여 회맹제를 행하고 21공신 회맹록을 작성하였다. 1811년(순조 11) 6월에 이르러 사헌부와 사간원의 시호서경을 거쳐 신경행의 시호가 ‘충익(忠翼)’으로 정해지자 순조는 이듬해인 1812년(순조 12) 정월에 증시교지를 내려주었다. 신경행이 시호를 받기 전에 그의 행적을 기술한 것이 조은신공시장인데 ‘조은’은 신경행의 호(號)이며, 이 글은 김이영이 지었다.

서지적 사항

신경행 청난공신교서는 전문이 37행으로 다른 공신교서에 비해 비교적 간략한데, 공신 명단이 5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제목은 3행, 내용이 25행, 공신 명단이 8행이며 발급일자가 1행을 차지하고 있다. 9점의 문서 중 7점은 낱장문서이나 조은신공시장과 청난원종공신녹권은 성책문서 형태로 되어 있다.

내용

청난공신교서는 이몽학의 난을 평정한 공로를 서술하고 5명을 3등으로 나누어 책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등은 홍가신(洪可臣)이며, 2등에는 박명현(朴名賢)과 최호(崔湖), 3등에 신경행과 임득의(林得義)를 책록하였다. 3등은 ‘분충출기 청난공신(奮忠出氣淸難功臣)’으로, 이들에게는 본인·부모·처자에게 1계급을 올려주고, 적장이 녹을 세습하게 하며 전지 60결과 노비 7명을 하사한다는 내용이다.

청난원종공신록권은 청난공신교서를 내린 이듬해에 1,000여 명을 원종공신으로 봉하고 공신도감에서 발급하였다. 유서는 선조가 신경행을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고 제1부의 밀부를 내리면서 비상사안이 발생하면 부(符)를 합한 후에 명령대로 거행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호서경은 신경행의 시호를 순조가 충익으로 낙점하자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서경 절차를 거친 것인데, 위기에 몸을 바치니 ‘충(忠)’이며, 사려가 깊고 멀어 ‘익(翼)’이라는 호의 의미가 담겨 있다.

20공신회맹록과 21공신회맹록은 서로 협력하여 국은을 갚고 국왕에게 충성하자는 서약을 담고 있다. 전자에는 신경행의 4세손인 신득중이 기록되어 있으며, 후자에는 6세손 신광우(辛光禹)가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경행의 공신책봉과 그 후손들의 공신회맹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문서로 남아 있어 공신과 공신을 배출한 가계의 사회적 위상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그리고 공신 책봉의 과정과 증시(贈諡) 행정 등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최승희, 지식산업사, 198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