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실차난타가 한역한 80권본 외에도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60권본과 반야(般若)의 40권본이 있다.
『화엄경』은 991년에 북송(北宋)에서 개보판 대장경으로 간행되어 수입되었다. 그러다가 현종 2년에 거란의 침입이 일어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목판으로 불경을 새겼다. 결국 이 대장경은 전쟁 중에 불교신앙의 힘으로 국민을 단결시켜 국난을 타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간행한 것이었다.
이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때인 1011년에 시작하여 10여 년 동안 판수제 등 개보판 대장경의 일부를 수정하여 판각하였다.
표지 및 권수에 5장까지 배접되었고, 11장까지 부분적으로 배접되어 있다. 판식은 상하단변에 상하 간 22.5㎝이고, 장 크기는 28.5㎝×46.5㎝이고 한 장에 23항 14자씩 배자되어 있다. 본문의 상단부분 3∼4개소에는 파손이 되어 있고, 권축은 0.9㎝, 길이는 33.3㎝의 전단목이며 양끝부분에는 옻칠이 되어 있다.
권수는 표전문으로 시작하여 신역한 80화엄경의 총목차가 7처(處) 9회(會)순으로 39품명과 80권차가 수록되고, 이어서 천책금륜성신황제(天冊金輪聖神皇帝)의 서문, 그리고 제1권의 세주묘엄품이 시작되고 있다. 권말에는 699년 10월 8일에 번역을 완료했음을 밝히고 이어 석범본(釋梵本)·역어(譯語)·필수(筆受)·철문(綴文)·증의(證義) 등 역경에 참여한 승려의 소속과 명단이 등장하고 있다.
80화엄경 전체 39품 가운데 첫 번째 품인 세주묘엄품 첫 번째 권이다. 『화엄경』은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루고 7처 9회에서 깨달음의 내용을 말씀하신 것인데, 이 세주묘엄품은 그 서문이다. 부처님이 비로차나법신으로 미묘한 덕을 나타내고 설교장소인 보리도장은 웅장하고 아름답게 장식되었고 땅은 금강석으로 이루어졌고 주위는 갖가지 보배와 꽃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부처님이 이 세상에 나옴으로서 모든 중생들이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고 화목을 이룩할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중 유일한 권1이다. 권수에 표전문과 총목 그리고 측천무후의 서문이 붙어 있고 권말에 역경에 참여한 승려의 소속과 역할이 기록되어 있어 초조판 대장경의 원형을 살필 수 있는 귀중 한 자료이다. 그리고 해인사대장경에 비해 새김이 정교하고 먹색이 진하고 매 행(行)의 글자수가 14자로 해인사본의 17자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특징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