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전기 『대방광불화엄경』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이칭
이칭
화엄경 주본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十九)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대장도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90년 09월 20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단양군 백자길 9 (영춘면, 대한불교천태종 불교천태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전기 『대방광불화엄경』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개설

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실차난타가 한역한 80권본 외에도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60권본과 반야(般若)의 40권본이 있다.

편찬/발간 경위

『화엄경』은 991년에 북송에서 개보판 대장경으로 간행되어 수입되었다. 그러다가 현종 2년에 거란의 침입이 일어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목판으로 불경을 새기게 되었던 것이다. 결국 이 대장경은 전쟁 중에 불교신앙의 힘으로 국민을 단결시켜 국난을 타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간행한 것이었다.

이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때인 1011년에 시작하여 10여 년 동안 판수제 등 개보판 대장경의 일부를 수정하여 판각하였다.

서지적 사항

상하단변에 상하 간 크기는 22.9㎝ 장 크기는 28.5㎝×46.5㎝, 한 장에 23항 14자씩 배자되어 있다. 권수에는 누습으로 인한 자국과 내용 일부가 훼손되었으나 그 외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권말에는 양쪽 끝에 주칠이 되어 있는 권축이 붙어 있다. 송 태조 조부의 휘인 ‘경(敬)’자의 겸피휘자인 ‘경(竟)’자에 결획이 있다.

내용

화엄경 39품 가운데 제25 십회향품의 제7회향이다. 회향이란 보살이 닦은 공덕을 남에게 나누어준다는 뜻이다. 보살은 모든 사람들을 공평하게 대해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부귀와 영화를 탐내지 말아야 하며 차별심이 없고 부귀를 탐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의의와 평가

11세기 초에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으로 해인사대장경에 비해 새김이 정교하고 먹색이 진하다. 또한 매 행(行)의 글자수가 14자로 해인사본의 17자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특징도 보인다. 누습으로 인해 권수에 일부 탈락이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귀중한 초조대장경 판본이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1990 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