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권4~7 ( ~)

목차
관련 정보
묘법연화경 권4~7
묘법연화경 권4~7
불교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왕실에서 효령대군과 안평대군이 발원하여 승려들과 더불어 1448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이칭
이칭
법화경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묘법연화경 권4~7(1984)(妙法蓮華經 卷四~七(1984))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4년 05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9길 10-10 (충정로2가, (재)현담문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왕실에서 효령대군과 안평대군이 발원하여 승려들과 더불어 1448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개설

『묘법연화경』은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경전으로, 법화사상을 담고 있는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이다. 흔히『법화경』이라고 하며, 가장 널리 알려진 대승 경전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406년에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한역(漢譯)한 것이 주로 간행 · 유통되었고, 그 뒤 송나라 계환(戒環)이 본문의 뜻을 쉽게 풀이한 주해본(註解本) 7권이 유행하였다.

내용

이 책은『묘법연화경』전 7권 중에서 권4∼권7을 한데 묶은 1책이다. 1행 20자이며, 크기는 세로 29.2㎝, 가로 18㎝이다. 권4의 권두(卷頭)에는 변상도(變相圖)가 그려져 있다.

책 끝에는 1448년(세종 30) 4월에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이 짓고 친필로 쓴 발문과 같은 해 5월에 성균생원(成均生員) 양윤손(梁尹孫)이 지은 발문이 있다. 발문에 따르면, 이 책은 1448년에 숙질 사이였던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과 안평대군이 발원하고서 승려들과 더불어 간행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책 끝에 있는 안평대군 발문의 글씨는 매우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이 책은 조선 전기에 왕실이 주도한『묘법연화경』인쇄 경위는 물론 명필가 안평대군의 서법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묘법연화경의 판본 연구』(정왕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문화재청(www.cha.go.kr)
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kb.sutra.re.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오용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