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

불교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도솔산 안심사에서 신문의 주관으로 성달생의 정서본을 판각하여 1405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이칭
이칭
법화경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1년 01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직지사 성보박물관 (운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도솔산 안심사에서 신문의 주관으로 성달생의 정서본을 판각하여 1405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개설

200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성달생, 성개 형제가 선친의 명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정서(淨書)한 『묘법연화경』을 판하본(板下本)으로 삼아 1405년(태종 5)에 전라도 고산의 안심사에서 도인 신문(信文)의 주관으로 간행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권말에 있는 권근의 발문에는 이 판본의 간행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곧 조계종의 대선인 신희(信希) 등이 나이든 사람들이 보기에 편하도록 이 경을 중간 크기의 글자로 간행하고자 성달생(成達生)에게 의뢰하였고, 마침 아버지의 상중(喪中)이던 성달생과 성개(成槪) 형제는 돌아가신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이 경을 함께 쓰게 되었다. 이것을 도인 신문이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로 가지고 가서 간행하였던 것이다.

서지적 사항

전 7권 2책 중 권1∼3이 제1책, 권4∼7이 제2책이다. 처음 변상도가 3장 있는데 마지막 변상도의 끝에는 죽은 고려우왕이 청정한 불국토에 환생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정씨(鄭氏)의 시주로 새겨 유통한다는 글이 있다. 죽은 고려의 왕을 위해 변상도를 판각 보충하였다는 사실이 이채롭다. 본문에는 구결이 필사되어 있고, 상단에 주석이 있는 장도 있다. 권말에는 권근의 발문에 이어 토산군(兎山郡) 부인(夫人) 김씨(金氏) 등의 시주자 명단이 있다. 동일한 판본이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7권 2책,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권4∼7의 1책이 전하고 있으나 보존상태가 좋지 않거나 결본이다.

내용

이 경은 중국 요진(姚秦) 시대인 406년경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하고, 송(宋)나라 계환(戒環)이 해석한 것이다. 부처의 40년 설법을 집약하는 정수를 담고 있는 경전이다. 『화엄경』, 『금강경』과 함께 대표적인 대승불교 경전으로 『법화경』이라고 한다. 내용은 가야성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명필인 성달생의 필체로 간행된 묘법연화경으로 권근의 발문을 통해 간행의도와 과정 등을 알 수 있다. 또 죽은 고려의 왕을 위해 변상을 새겼다는 사실도 특이하며, 조계종과 천태종, 곧 선종간의 당시의 교류사실도 살필 수 있는 책이다.

참고문헌

『팔만대장경해제』(사회과학출판사, 1992)
「직지사 『묘법연화경』의 서지적 연구」(강순애·이현자, 『고인쇄문화』8, 2001)
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kb.sutra.re.kr/ritk/index.do)
문화재청(www.cha.go.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
집필자
오용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