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4년 초겨울, 한성부 남부 수표교(水標橋) 이벽의 셋집에서 이승훈(李承薰, 17561801, 베드로)이 이벽(李檗, 17541785), 권일신(權日身, 17411792), 정약용(丁若鏞, 17621836) 등을 모아놓고 집단적인 세례의식(洗禮儀式)을 거행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되었다. 계속해서 이승훈은 불과 몇 달 만에 김범우(金範禹, 17511786?), 최인길(崔仁吉, 17651795), 지황(池璜, 17671795), 최창현(崔昌顯, 17591801), 이존창(李存昌, 1759~1801) 등을 포함하여 모두 수십 명에게 세례를 주면서, 신자들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자, 모임 장소를 수표교에서 멀지 않은 장악원(掌樂院) 앞 김범우의 집으로 옮겼는데 이곳이 행정구역상 명례방에 속했기 때문에 당시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공동체를 오늘날 연구자들이 ‘명례방공동체(明禮坊共同體)’라고 부른다.
명례방공동체는 1784년 초 청나라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한 이승훈이 이벽의 도움을 받아 조선왕조에 천주교 신앙을 널리 보급하려는 의도에서 설립했다.
이승훈은 1784년 봄에 귀국한 후 북경의 선교사들로부터 증여받은 여러 종류의 천주교 교리서들을 그와 교유(交遊)하던 성호학파 학인들과 함께 수개월간 정독하고 토론한 후, 세례식을 통해 한국 최초의 천주교 전례공동체를 조직하였고, 그 공동체의 구성원(신자)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정기적인 모임을 한 지 불과 6개월 만에 형조의 금리(禁吏)에게 모임이 발각되어, 공동체가 와해되었으니 이것이 바로 1785년 봄에 일어났던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 일명 명례방사건)이다.
1785년 명례방공동체가 와해된 때로부터 113년이 지난 1898년 5월 29일 이곳에는 고딕식의 장엄한 명동성당(明洞聖堂)이 건립됨으로써, 명동성당은 현재까지 한국 천주교회를 대표하는 상징적 건물이 되었다.
명례방공동체는 세례를 통해 한국 천주교회가 정식으로 1784년 수표교에서 탄생한 이후 가톨릭 신앙의 보급을 목적으로 오늘날 명동성당 일대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창설자 이승훈과 이벽 등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간 일종의 가톨릭 교리학습 공동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