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념미타도량참법 권7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후기 승려 혜랑이 왕자성의 『예념미타도량참법』을 1376년에 간행한 불교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예념미타도량참법 권7(禮念彌陀道場懺法 卷七)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1년 08월 03일 지정)
소재지
대구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동산도서관 (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후기 승려 혜랑이 왕자성의 『예념미타도량참법』을 1376년에 간행한 불교서.
개설

200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예념미타도량참법』은 아미타불을 정성껏 예배함으로써 극락왕생을 염원하는 의식을 수록한 책으로 왕자성(王子成)이 엮은 것이다. 이 책은 고려의 혜랑(慧朗)이 1376년(고려 우왕2)에 간행한 판본인데 전 10권 3책 중에서 권7∼10의 1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왕자성이 여러 불경 가운데서 아미타불의 정토에 왕생하는 이야기를 뽑아 엮었는데 도를 닦는 쉽고 빠른 길이라고 생각하였다. 박면(朴免)의 발문에 이어 1376년에 간행 당시의 조역자들의 명단이 권말에 있다. 당시 목판의 마구리 철제장식은 각근(覺斤), 연판은 이단(李端), 각수는 신천서(申天瑞), 이인렬(李仁烈) 등이 맡았고, 시주는 삼중대광 상당군 한중례(韓仲禮) 등이었다.

서지적 사항

고려시대 이후의 『예념미타도량참법』 간본은 제법 전하는데 현재까지 공개된 간본 중에서 이 책의 간행시기가 가장 빠르다. 발문을 지은 ‘창룡병진(蒼龍丙辰)’을 간년으로 보면 1376년이 된다. 영본이기는 하지만 인쇄상태와 보존상태가 좋다.

내용

『예념미타도량참법』은 아미타불에게 예배하며 도량에서 참회하는 방법이라는 뜻이다. 수행자가 불도를 이루기 위해 공덕과 선행을 부지런히 쌓아나가는 방법과 이를 위한 수양법이 소개되어 있다. 모두 13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7∼10은 제8항목인 발원 왕생(往生)부터 제13항목인 촉루(囑累) 유통(流通)까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인 1376년에 간행된 가장 앞선 판본이며, 희귀한 판본으로 국가유산의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보물 도서 11종의 문헌적 가치」(장인진, 『한국학논집』 37, 2008)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library.kmu.ac.kr)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오용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