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선부산랑, 광주목사, 밀직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52년(고종 39)
사망 연도
1336년(충숙왕 복위 5)
본관
밀성(密城)
출생지
개경
주요 관직
사헌규정|경상도안렴사|선부산랑|광주목사|밀직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선부산랑, 광주목사, 밀직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밀성(密城: 경산남도 밀양시). 아버지는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낸 박함(朴諴)이고, 어머니는 음평군부인(陰平郡夫人) 안씨(安氏)이다. 부인은 김제군부인(金堤郡夫人) 조씨(趙氏)이며 5남 2녀를 낳았는데, 세 아들이 과거에 급제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8년(충렬 4) 전리사서원(典理司書員)을 거쳐 전주 임피현위(全州 臨陂縣尉)에 임명되었다. 임기가 끝난 뒤 내시(內侍), 판적요직(板積窯直), 공역령(供驛令), 사온서령(司醞署令), 자운방판관(紫雲坊判官)을 거쳤다. 1310년(충선왕 2) 사헌규정(司憲糾正)에 임명되고,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로 나가 오래된 문서를 조사하고 적발하였으나 탄핵을 받고 해임되었다. 1316년(충숙왕 3) 장남 박인간(朴仁幹)이 원나라에 체류 중인 충선왕의 관저에서 근무하게 되자, 선부산랑(選部散郞)으로 기용되어 지경원부(知慶源府)로 나아갔다. 얼마 뒤 벼슬에서 물러나 은퇴하였다. 1324년(충숙왕 11)에 박인간이 충선왕을 따라 토번(吐蕃)에서 돌아오자 다시 기용되어 광주목사(廣州牧使)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에 통헌대부 밀직부사 상호군(通憲大夫 密直副使 上護軍)으로 은퇴하였다.

박화는 전반적으로 낮은 지위에 머물러 있다가 만년에 장남이 귀해짐에 따라 높은 관직에 오르고 후한 녹봉을 받게 되었다. 1336년(충숙왕 복위5)에 85세로 사망하자, 개경 동쪽 대덕산(大德山) 감은사(感恩寺)의 북쪽 기슭에 장례지냈다.

참고문헌

『졸고천백(拙稿千百)』
「박화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