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 ()

전 최광 묘 석관 내면, 최광 묘지
전 최광 묘 석관 내면, 최광 묘지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경선점녹사, 내시, 감문위섭산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소점(小苫), 소우(昭于)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08년(희종 4)
사망 연도
1229년(고종 16)
본관
동주(東州)|철원(鐵圓)
출생지
개경
주요 관직
양온령동정|경선점녹사|내시|감문위섭산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경선점녹사, 내시, 감문위섭산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주(東州, 鐵圓). 자(字)는 소우(昭于).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최유청(崔惟淸)의 증손자이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최종준(崔宗峻)의 아들이다.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김공(金公)의 딸과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명문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태어난 달에 오래 살지 못할까 염려되어 속언(俗諺)에 따라 거적[苫]으로 싸서 길가에 버렸다. 사촌누이가 거두어 길렀으므로 어렸을 때 이름을 소점(小苫)이라고 하였다.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양온령동정(良醞令同正)이 되었다. 이후 경선점녹사(慶仙店錄事)와 재관(材官)을 거쳐 궁궐에 들어가 내시(內侍)로 임금을 모셨다. 22세인 1229년(고종 16)에 감문위섭산원(監門衛攝散員)으로 갑자기 사망하자 개성 서쪽의 황봉산(黃鳳山) 남쪽 기슭에 장례지냈다.

최광 묘지명은 현재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묘지명은 그 작성시기를 고려 개국(開國)을 기준으로 하는 연대표기 방식을 사용한 점이 특징적이다.

참고문헌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김용선,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최광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제5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고려시대 정안임씨·철원최씨·공암허씨 가문분석」(박용운, 『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경인문화사, 200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