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문리의 아이들

목차
현대문학
문헌
청사에서 김진경의 시 「갈문리의 아이들」 · 「귀향」 · 「지리산」등을 수록하여 1984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청사에서 김진경의 시 「갈문리의 아이들」 · 「귀향」 · 「지리산」등을 수록하여 1984년에 간행한 시집.
내용

『갈문리의 아이들』은 김진경의 첫 시집으로 1984년 출판사 ‘청사’에서 출간되었고 2001년 ‘문학동네’에서 재출간되었다. 김진경은 80년 5월 광주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의 의의와 그 정신을 시적 모티프로 삼는 『오월시』의 동인으로 활동하였는바, 그의 첫 시집인 『갈문리의 아이들』에는 이러한 시인의 시대의식이 발현되고 있다.

『갈문리의 아이들』에는 「갈문리의 아이들」연작시와 「영말리」와 같이 6.25로 인한 공포와 상처를 그린 작품이 있고, 「귀향」, 「금남로에서」, 「돌」, 「지문」 등과 같이 시대의 억압과 폭력, 그로인한 상처와 절망을 형상화한 작품들이 있다. 또한 장시 「지리산」에서는 1894년 갑오농민전쟁에서 1980년 5월의 광주로 이어지는, 백여 년의 한국 근대사의 전개 과정을, ‘어둠’의 세력과 이에 맞서는 ‘불꽃’의 대립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혼돈과 상처뿐인 우리의 근대사를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시인은 역사와 민중의 잠재된 힘을 발견해낸다. 그것이 시집에서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풀’이 표상하는 바이다. 풀은 흔들리고 쓰러지고 짓밟힐지언정 다시 일어선다. 또한 이 흔들림에는 획일화된 통제와 억압을 부정하는 힘이 있다. 그의 시에서 ‘풀’, ‘풀꽃’, ‘풀잎’의 형상은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처받고 소외된 사람들, 즉 민중의 모습이자 바로 시인 자신에 대한 비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갈문리의 아이들』은 암울한 시대의 절망적 현실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고통의 중심에서 강인하게 이어지고 있는 민중의 생명력을 그리고 있다. ‘풀’로 표상되는 이 민중의 잠재된 힘은 시인으로 하여금 미래를 꿈꾸게 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참고문헌

『갈문리의 아이들』(김진경, 청사, 1984)
집필자
송기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