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래동 ()

목차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현대중국문학의 신방향」, 「중국 현대 문단 개관」 등을 저술한 학자. 중국문학연구자.
이칭
이칭
북해(北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3년(고종 40) 1월
사망 연도
1985년
본관
나주
출생지
전라남도 곡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현대중국문학의 신방향」, 「중국 현대 문단 개관」 등을 저술한 학자. 중국문학연구자.
생애

호는 북해(北海). 1903년 1월 전라남도 곡성에서 태어났다. 1918년 일본 명치학원(明治學院) 중학에 입학하였고, 1923년 도쿄의 대성중학교(大成中學校)를 졸업하였다. 1924년 중국으로 건너갔고, 이태 뒤에 북경의 민국대학(民國大學) 영문계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에 그는 오남기(吳南基), 국순엽(鞠淳葉) 등과 함께 아나키즘그룹에 가담했다. 또한 학교에서는 영문학을 배우면서도 개인적으로는 중국문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당시는 중국에는 백화문학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는데, 그는 『흑암(黑暗) 중의 홍광(紅光)』의 작가 향배량(向培良)에게 백화문학 작품을 배웠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뒷날 향배량의 작품을 국내에 번역 소개하기도 했다. 1928년부터는 우리나라 일간신문과 잡지 등에 중국문학을 소개하는 글을 쓰기 시작하였다. 1930년 대학 졸업 후 귀국하여 1932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하였고, 1941년 『동아일보』가 폐간당한 이후 보성전문학교 중국어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서울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활동사항

1928년 『신민』에 「현대중국문학의 신방향」을 발표하였고, 1929년에는 12회에 걸쳐 『조선일보』에 「중국 현대 문단 개관」을 연재하여 중국의 현대문학을 한국에 본격적으로 소개했다. 1931년에는 『동아일보』에 「현대중국연극」을, 『조선일보』에 「움직이는 중국문단의 최근상」이라는 논고를 게재하여, 자신이 직접 체험한 당대 중국의 문학계와 연극계 상황을 발빠르게 전달했다. 또한 「노신과 그의 작품」을 써서 중국문학혁명의 실행자였던 노신의 작품을 소개했다. 이밖에도 그는 정서림(丁西林, 1893∼1974)의 「일수마봉(一隻馬蜂)」을 「버얼」로 번역했고, 또한 중국의 유명한 극작가이자 시인인 전한(田漢, 1898∼1968)의 작품 「카풰의 일야(一夜)」와 「강촌소경(江村小景)」을 번역 소개하였다. 중국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중국의 현대문학에 그치지 않고, 중국고전문학 예컨대 굴원(屈原), 이청조(李淸照), 소동파(蘇東坡), 도연명(陶淵明) 등 고대 유명한 문인들과 그들의 작품, 사상을 자세히 소개·평가하는 데까지 미쳤다. 정래동은 한국의 중국문학 수용에 있어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연구자로 평가받는다. 1949년 수필집 『북경시대』를 펴냈고, 1971년에는 지인들에 의해 『정래동 전집』이 3권으로 출간되었다.

참고문헌

『정래동 전집 1』(정래동, 금강출판사, 1971)
「정래동 연구 :중국현대문학의 소개와 번역을 중심으로」(방평,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일제시기 중국 현대희곡의 국내 번역과 그 특징 연구」(박남용·임혜순, 『중국학연구』50호, 2009)
집필자
장노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