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서화관 ()

회화
단체
김규진이 1913년에 자신이 경영하던 천연당사진관(天然堂寫眞館) 안에 개설한 상업화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김규진이 1913년에 자신이 경영하던 천연당사진관(天然堂寫眞館) 안에 개설한 상업화랑.
설립목적 및 개설

1907년에 개설한 천연당사진관 내에 부설된 고금서화관은 서화와 표구의 발전을 위해 개설되었다. 김규진 자신의 작품을 주문에 응해 제작판매했으며, 명가들의 서화를 위탁 판매하고, 고등 표구사를 데려와 병풍, 주련(珠聯), 횡축(橫軸), 비문, 상석, 현판, 간판 글씨도 주문에 응해 제작 했다. 조각, 도금, 취색(取色) 등을 염가로 제작 혹은 소개하고, 고서화를 사고 위탁 전매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했던 상업화랑이었다. 또한 고금서화관에서는「육체필론습자첩(六體筆論習字帖)」(서체와 필획을 설명하고 습자한 것을 모아 책으로 엮음)을 발간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14년 7월에는 김규진의 조카인 김영선(金永善)이 평양에서 운영하던 기성사진관 안에 고금서화관의 지점을 개설했다. 김규진이 고금서화관을 언제까지 경영했는지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다만 1920년 그가 천연당 사진관을 폐업했을 때 고금서화관을 타인에게 물려 주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이 때까지 운영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해강 김규진(1868∼1933)의 회화 연구」(서재원,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미술사학 석사논문,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